直系.內從.外從系(직계 내종 외종계)
系寸圖 (계촌도)
촌수를 세는 방법을 나타내는 그림을 계촌도라 하며,
치촌을 함께 나타내기도 한다.
直系(직계)
현조 (玄祖) 5촌 | ||||||||||
┣━━━━━━━━━━━━━━━━━━━━━━━━━━━┓ | ||||||||||
고조 (高祖) 4촌 |
종고조 (從高祖) 6촌 | |||||||||
┣━━━━━━━━━━━━━━━━━━━━┓ | ┃ | |||||||||
증조 (曾祖) 3촌 |
종증조 (從曾祖) 5촌 |
재종증조 (再從曾祖) 7촌 | ||||||||
┣━━━━━━━━━━━━━┓ | ┃ | ┃ | ||||||||
할아버지 (祖) 2촌 |
종조 (從祖) 4촌 |
재종조 (再從祖) 6촌 |
3종조 (三從祖) 8촌 | |||||||
┣━━━━━━━━┓ | ┃ | ┃ | ┃ | |||||||
아버지 (父) 1촌 |
백숙부 (伯叔父) 3촌 |
종백숙부 (從伯叔父) 5촌 |
재종백숙부 (再從伯叔父) 7촌 |
3종백숙부 (三從伯叔父) 9촌 | ||||||
┣━━━━┓ | ┃ | ┃ | ┃ | ┃ | ||||||
나 (己) 무촌 |
형제 (兄弟) 2촌 |
종형제 (從兄弟) 4촌 |
재종형제 (再從兄弟) 6촌 |
삼종형제 (三從兄弟) 8촌 |
사종형제 (四從兄弟) 10촌 | |||||
┃ | ┃ | ┃ | ┃ | ┃ | ┃ | |||||
아들딸 (子) 1촌 |
조카 (姪) 3촌 |
종질 (從姪) 5촌 |
재종질 (再從姪) 7촌 |
3종질 (三從姪) 9촌 |
4종질 (四從姪) 11촌 | |||||
┃ | ┃ | ┃ | ┃ | ┃ | ┃ | |||||
손자 (孫) 2촌 |
종손 (從孫) 4촌 |
재종손 (再從孫) 6촌 |
3종손 (三從孫) 8촌 |
4종손 (四從孫) 10촌 |
5종손
|
나로부터 아랫대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나 ━ 아들딸 ━ 손(孫) ━ 증손(曾孫) ━ 고손(高孫) ━ 현손(玄孫) ━ 내손(來孫) ━ 곤손(昆孫) ━ 잉손(仍孫)
內從(내종)
고조 (高祖) 4촌 | ||||||||
┣━━━━━━━━━━━━━━━━━━━━━━┓ | ||||||||
증조 (曾祖) 3촌 |
종대고모 (從大姑母) 5촌 | |||||||
┣━━━━━━━━━━━━━━━┓ | ┃ | |||||||
할아버지 (祖) 2촌 |
대고모 (大姑母) 4촌 |
내재종조 (內再從祖) 6촌 | ||||||
┣━━━━━━━━━┓ | ┃ | ┃ | ||||||
아버지 (父) 1촌 |
고모 (姑母) 3촌 |
내종숙 (內從叔) 5촌 |
내재종숙 (內再從叔) 7촌 | |||||
┣━━━━┓ | ┃ | ┃ | ┃ | |||||
나 (己) 무촌 |
자매 |
내종형제 (內從兄弟) 4촌 |
내재종형제 (內再從兄弟) 6촌 |
내삼종형제 (內三從兄弟) 8촌 | ||||
┃ | ┃ | ┃ | ┃ | ┃ | ||||
아들딸 (子) 1촌 |
생질 (甥姪) 3촌 |
내종질 (內從姪) 5촌 |
내재종질 (內再從姪) 7촌 |
내3종질 (內三從姪) 9촌 | ||||
┃ | ┃ | ┃ | ┃ | |||||
이손 (離孫) 4촌 |
내재종손 (內再從孫) 6촌 |
내3종손 (內三從孫) 8촌 |
내4종손 (內四從孫) 10촌 |
外從(외종)
외고조 (外高祖) 4촌 | ||||||||
┣━━━━━━━━━━━━━━━━━━━━━━━━┓ | ||||||||
외증조 (外曾祖) 3촌 |
외종증조 (外從曾祖) 5촌 | |||||||
┣━━━━━━━━━━━━━━━━━┓ | ┃ | |||||||
외할아버지 (外祖) 2촌 |
외종조 (外從祖) 4촌 |
외재종조 (外再從祖) 6촌 | ||||||
┣━━━━━┳━━━━━┓ | ┃ | ┃ | ||||||
어머니 (母) 1촌 |
이모 (姨母) 3촌 |
외숙 (外叔) 3촌 |
내종숙 (內從叔) 5촌 |
내재종숙 (內再從叔) 7촌 | ||||
┃ | ┃ | ┃ | ┃ | ┃ | ||||
나 (己) 무촌 |
이종형제 (姨從兄弟) 4촌 |
외종형제 (外從兄弟) 4촌 |
외재종형제 (外再從兄弟) 6촌 |
외삼종형제 (外三從兄弟) 8촌 | ||||
┃ | ┃ | ┃ | ┃ |
┃
| ||||
아들딸 (子) 1촌 |
이종질 (姨從姪) 5촌 |
외종질 (外從姪) 5촌 |
외재종질 (外再從姪) 7촌 |
외3종질 |
종(從)은 4촌~5촌의 촌수를 뜻하지만
종(從)이란 말을 단독으로 쓰지는 않는다.
종형(從兄), 종제(從弟), 종매(從妹), 종조부(從祖父)에서 종(從)은 비로소
사촌(四寸)이란 뜻이 나타나고, 종숙(從叔) 종질(從姪)은 5촌이 된다.
재종(再從)은 6촌~7촌 를 뜻 한다.
삼종(三從)은 8촌~9촌를 뜻하고,
사종(四從)은 10촌~11촌이다.
여기서 짝수인 4촌, 6촌,8촌,10촌은 형제(兄弟)항렬인 동항(同行 : 같은 항렬)이 된다.
종형(從兄), 종제(從弟)는 4촌이고,
재종형(再從兄), 재종제(再從弟)는 6촌이며,
삼종형(三從兄), 삼종제(三從弟)는 8촌이며,
사종형(四從兄), 사종제(四從弟)는 10촌이다.
이 짝수에 +1촌이 증가되어 홀수가 되면 숙항(叔行 : 아재, 아저씨 항렬)이나
조카는 질항(姪行 : 조카 항렬)이 된다. 즉,
종숙(從叔)=당숙(堂叔) 과 종질(從姪) = 당질(堂姪)은 5촌이고,
재종숙(再從叔)=재당숙(再堂叔), 재종질(再從姪)=재당질(再堂姪은 7촌이며,
삼종숙(三從叔),삼종질(三從姪)은 9촌이며,
사종숙(四從叔), 사종질(四從姪)은 11촌이 된다.
조항(祖行 : 할아버지 항렬)과 손항(孫行 : 손자 항렬)도 2촌, 4촌, 6촌,
8촌, 10촌의 짝수이다. 즉,
조부(祖父)와 손자는 2촌이고,
종조부와 종손(從孫)은 4촌이며,
재종조부(再從祖父)와 재종손(再從孫)은 6촌이며,
3종조부(三從祖父)와 3종손(三從孫)은 8촌이며,
4종조부(四從祖父)와 4종손(四從孫)은 10촌이다.
이 짝수에 +1촌을 더하면 증조(曾祖)와 증손(曾孫) 항렬이 된다.
증조(曾祖)와 증손(曾孫)은 3촌간이고,
종증조(從曾祖)와 종증손(從曾孫)은 5촌이며,
재종증조(再從曾祖)와 재종증손은 7촌이며, 삼종증조와 삼종증손은 9촌이다.
증조(曾祖)의 항렬이 홀수니까 고조(高祖) 항렬(行列)은 짝수가 된다.
즉, 고조부(高祖父)와 현손(玄孫=高孫)은 4촌이며,
종고조부(從高祖父)와 종현손(從玄孫)은 6촌이다.
그라고 호칭을 할 때는 숫자를 숨겨야한다.
요즘은 부모들이 호칭을 몰라 자식을 가르치지를 않다보니
결혼한 삼촌(三寸)을 숙부(叔父)라 해야 하는데, 숙부를 삼촌이라 하니...ㅉㅉ
이 얼마나 우리 어른들의 큰 잘 못이겠는가?
즉, 4촌형이라고 하지 않고 종형(從兄) 이라고 한다.
5촌 아저씨도 5촌을 숨기고 종숙(從叔)=당숙(堂叔)이라고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