自警文(자경문)-栗谷(율곡)
自警文(자경문)-栗谷(율곡)
1.先須大其志.以聖人爲準則.一毫不及聖人.則吾事未了
(선수대기지.이성인위준칙.일호불급성인.즉오사미료)
먼저 모름지기 입지(立志)를 크게 하여 성인으로써 준칙(準則)을 삼을 것이니,
일호(一毫:털오라기하나만큼)라도 성인에 미치지 못하면 나의 일은
마치지 못한 것이 된다.
2.心定者言寡.定心自寡言始.時然後言.則言不得不簡
(심정자언과.정심자과언시.시연후언.즉언부득불간)
마음이 정해진 자는 말이 적으니,마음을 정하는 것은
말을 적게 하는 데서부터 시작된다.
꼭 할 때가 온 뒤에야 말을 한다면 말이 간략해지지 않을 수 없다.
3.久放之心.一朝收之.得力豈可容易.心是活物.定力未成.則搖動難安.若思慮紛擾時.
(구방지심.일조수지.득력기가용이.심시활물.정력미성.즉요동난안.약사려분요시.
作意厭惡.欲絶之.則愈覺紛擾.倏起忽滅.思不由我.假使斷絶.只此.斷絶之念.
작의염오.욕절지.즉유각분요.숙기홀멸.사부유아.가사단절.지차.단절지념.
橫在胸中. 此亦妄念也.當於紛擾時收斂精神.輕輕照管.勿與之俱往.用功之久.
횡재흉중.차역망념야.당어분요시수렴정신.경경조관.물여지구왕.용공지구.
必有凝定之時.執事專一此亦定心功夫
필유응정지시.집사전일차역정심공부)
오래 방치해 놓았던 마음을 하루아침에 거둔다 하여,
힘을 얻기가 어찌 용이할 수 있으리오.
마음은 곧 살아 있는 물건이라 정력(定力)이 이루지지 못하면
요동(搖動)하여 편안하기 어렵다.
만약 사려(思慮:심의 작용 모두를 이르나 이 두 자로 대표하여 말함)가
어지러워지고 흔들릴 때 의(意)의 작용(作用)으로 싫어하고 미워하게 되니
이것을 끊어 버리고자 한다면 더욱 더 어지러워지고 흔들리는 것을 깨닫게 되어
갑자기 일어났다 홀연히 멸하는 등 나를 말미암지 않을 것 같을 것이다.
(이 때에 이러한 방법으로)가령 단절한다 하여도 다만 이 단절하려는
생각이 가슴속에 가로막혀 있으리니, 이것도 또한 망념(妄念)일 뿐이다.
(그러면 어떻게 하여야 할까) 어지러워지고 흔들릴 때를 당하여
정신을 가다듬어 슬쩍 조관(照管:비추어 관활한다.모두를 비친다)하고
그와 더불어 함께 가지 말지니, 이렇게 공부하기를 오래 하면
반드시 응정(凝定:엉기어 정해짐)될 때가 있을 것이다.
일을 집행할 때 전일하게 하는 것도 이것이 또한 정심하는 공부이다.
4.常以戒懼謹獨意思.存諸胸中.念念不怠.則一切邪念.自然不起.
(상이계구근독의사.존제흉중.염염불태.즉일체사념.자연불기)
萬惡.皆從不謹獨生.謹獨然後.可知浴沂詠歸之意味
(만악.개종불근독생.근독연후.가지욕귀영귀지의미)
항상 계구(戒懼)하고 근독(謹獨)하는 마음을 흉중(가슴 속)에 보존하여,
생각하고 생각하여 게을리 하지 않는다면 일체의 사악한 생각[念]이
자연히 일어나지 않으리라.
만 가지 악이 모두 근독하지 않는 데서 생긴다.
근독한 연후에라야 기수(沂水)에서 목욕하고 읊조리며 돌아오는
의미를 알 수 있게 된다.
5.曉起.思朝之所爲之事.食後.思晝之所爲之事.就寢時.思明日所爲之事.無事則放下.
(효기.사조지소위지사.식후.사주지소위지사.취침시.사명일소위지사.무사즉방하.
有事則必思得處.置合宜之道.然後讀書.讀書者.求辨是非.施之行事也.若不省事
유사즉필사득처.치합의지도.연후독서.독서자.구변시비.시지행사야.약불성사.
兀然讀書.則無用之學
올영독서.즉무용지학)
새벽에 일어나서는 아침에 할 일을 생각하고, 조반 후에는 낮에 한 일을 생각하고,
취침할 때는 내일에 할 일을 생각해야 한다.
일이 없으면 방하(放下:풀어놓는다)하고, 일이 있으면 반드시 생각하여,
일을 조치(措置)할 때 의리에 맞는 도리를 얻어야 하니,
그렇게 한 뒤에 글을 읽어야 한다.
독서는 시비의 분변을 구해서 일을 행하는데 이것을 베푸는 것이니,
만약 일을 살펴보지 않고 우뚝하게 앉아 독서만 한다면 쓸모없는 학문이 된다.
6.財利榮利.雖得埽除其念.若處事時.有一毫擇便宜之念.則此亦利心也.尤可省察
(재리영리.수득소제기념.약처사시.유일호택편의지념.즉차역이심야.우가성찰)
재리(財利)와 영리(榮利)는 비록 그 사념(私念)을 깨끗이 제거한다 하더라도,
만약 일에 당면하였을 때 일호라도 편의(便宜)한 것을 선택하려는
생각을 갖는다면 이것이 또한 탐내는 마음이니, 더욱 성찰해야 한다.
7.凡遇事.至若可爲之事.則盡誠爲之.不可有厭倦之心.
(범우사.지약가위지사.즉진성위지.불가유염권지심.
不可爲之事.則一切裁斷.不可使是.非交戰於胸中.常以行一不義.
불가위지사.즉일체재단.불가사시.비교전어흉중.상이행일불의.
殺一不辜.得天下.不爲底意思.存諸胸中
살일불고.득천하.불위저의사.존제흉중)
무릇 일을 만남에, 만양 해야 할 일이면 성심을 다하여 하고,
싫어하거나 게을러하는 마음을 지녀서는 안 되며,
해서는 안 될 일이면 일체 끊어버려 시비가 흉중에
교전(交戰)하게 해서는 안 된다.
항상, 하나라도 옳지 않은 일을 행하거나, 죄 없는 사람을 한사람이라도
죽이고서라면 천하를 얻는다 해도 하지 않는다는 의사를 가슴 속에 지녀야 한다.
8.橫逆之來.自反而深省.以感化爲期
(횡역지래.자반이심성.이감화위기)
횡역(橫逆:순리에 어그러지는 일)이 내게 닥쳐오면
스스로 반성해서 깊이 성찰하여 감화시키기로 기약해야 한다.
9. 一家之人不和.只是誠意未盡
(일가지인불화.지시성의미진)
한 집안의 사람이 교화되지 못하는 것은 성의가 극진하지 못해서이다.
10.非夜眠及疾病.則不可偃臥.不可跛倚.雖中夜.無睡思則不臥.但不可拘迫.
(비야면급질병.칙불가언와.불가파의.수중야.무수사즉불와.단불가구박.
晝有睡思.當喚醒此心.十分猛醒.眼皮若重起而周步.使之惺惺
주유수사.당환성차심.십분맹성.안피약중기이주보.사지성성)
밤에 잠잘 때나 질병이 아니면 드러누워서도 안 되고 기대서도 안 된다.
비록 방중이라도 졸음이 오지 않으면 눕지 말 것이나
다만 억지로 얽매어 속박되어서는 안 된다.
낮에 졸음이 오면 마땅히 마음을 깨쳐서 십분 맹성할 것이니,
만약 눈가죽이 무겁거든 일어나 두루 걸어 다니며 정신을 깨게 하여야 한다.
11.用功不緩不急.死而後已.若求速其效.則此亦利心.若不如此.戮辱遺體便非人子
(용공불원불급.사이후이.약구속기효.즉차역이심.약불여차.육욕유체편비인자)
공부하여 노력하는 데는, 늦춰서도 안 되고 조급히 하여서도 안 되며,
죽은 뒤에 그만 둘 따름이다.
만약 공효를 급속하게 구하면 이것도 또한 이욕이 마음이다.
만약 이와 같이 하지 않고 부모의 유체(遺體)를 욕되게 하면
곧 사람의 자식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