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東千字文(대동천자문) 1.
大東千字文(대동천자문) 1.
대동천자문(大東千字文)은 念齋. 김균(1888-1978) 著이다
大東千字文의 특성은
① 중복되지 않은 1000자의 글자로 이루어졌다.
② 8자를 한 구절로 125구절로 나누어진다.
③ 우리나라의 역사와 인물, 풍속, 속담만을 주제로 삼고 있다.
④ 유학의 교육관에 기초하여 투철한 의리 정신을 깔고 있다.
⑤ 필자의 학맥이 노론의 학통이어서 노론적 색채가 강하다.
⑥ 내용이 비교적 다양하고 포괄적이다.
天地覆載 日月照懸(천지복재.일월조현)
하늘은 만물을 덮고, 땅은 만물을 싣고 있으며 해와 달은 하늘에서 비친다.
覆:덮을복 載:실을재 懸:매달 현.
人參兩間 父乾母坤(인참양간 부건모곤)
사람만이 천지사이에 참여하여,하늘을 아버지로 하고 땅을 어머니로 한다.
參:간여할 참.
慈愛宜篤 孝奉必勤(자애의독 효봉필근)
자애는 돈독해야 하며, 효성스럽게 모시기를 힘써야 한다.
慈:사랑할 자 篤:도타울 독 勤:부지런할 근
兄弟同胎 夫婦合歡(형제동태 부부합환)
형제는 같은 배에서 태어났으며.남편과 아내는 기쁨을 같이 해야 한다.
胎:아이밸태 歡:기쁠 환
委質爲臣 事君如親(위질위신 사군여친)
몸을 바쳐 신하가 되었으니. 임금을 부모와 같이 섬겨야 한다.
師其覺後 友與輔仁(사기각후 우여보인)
스승은 후인들을 깨우쳐야 하며.벗은 함께 어짐을 도와야 한다.
師:스승사 輔:도울보.
苟昧紀常 曷若走翔(구매기상 갈약주상)
만약 벼리가 되는 떳떳한 도리에 어둡다면.어찌 달리는
짐승과 나는 새만이나 하겠는가?
苟:진실로 구. 昧:새벽 매.曷:어찌 갈.翔:날상.
一丸朝鮮 二聖檀箕(일환조선 이성단기)
탄알처럼 조그마한 조선에,단군과 기자라는 두 성인이 있었다.
檀:박달나무 단.箕:키기
三韓鼎峙 四郡遠縻(삼한정치 사군원미)
삼한이 솥의 발처럼 우뚝 솟아 있는데.네 군이 멀리서 둘러쌌도다.
鼎:솥정 峙:우뚝솟을치 縻:고삐 미
五耶呑幷 六鎭廣拓(오야탄병 육진광척)
다섯 가야를 모두 삼키고.여섯 진영을 개척하여 넓혔다.
耶:어조사 야 呑:삼킬탄 拓:주울척.
七酋內附 八條外薄(칠추내부 팔조외박)
일곱추장이 우리나라에 붙으니 여덟 조목의 법이 나라
바깥에 까지 미치게 되었다.
酋:두목 추.薄:엷을 박.
九城定域 十圖進屛(구성정역 십도진병)
아홉 성을 설치하야 국경을 정하고,열 폭의 그림을 병풍에
그려 임금에게 올렸다.
屛:병풍 병.
百濟句麗 徐伐統均(백제구려 서벌통균)
백제와 고구려를 서라벌이 하나로 통일하였다.
濟:건널 제.麗:고울려.均:고를 균.
開京漢都 孔釋敎殊(개경한도 공석교수)
개경과 한양은, 공자와 석가를 받들어 종교가 달랐다.
釋:풀석.殊:다를수
靑邱勝境 白頭雄據(청구승경 백두웅거)
청구의 빼어난 곳에, 백두산이 웅장하게 자리잡고 있다.
邱:땅 이름 구.雄:수컷 웅. 據:의거할 거.
黃楊帝廟 赤裳史庫(황양제묘 적상사고)
황양동에는 황제의 사당이 있고.적상산성에는 역사 창고가 있다.
楊:버들 양.廟:사당 묘.裳:치마상.
黑雲掃去 蒼昊快睹(흑운소거 창호쾌도)
검은 구름을 쓸어버리니, 푸른 하늘을 시원하게 보게 되었다.
掃:쓸소. 睹:볼도.
鴨綠土門 分嶺建碑(압록토문 분령건비)
압록강과 토문강의, 분수령에다 비석을 세웠다.
鴨:오리압.綠:푸를록.녹.碑:돌 기둥비.
極旗特色 加之坎離(극기특색 가지감리)
감괘와 이괘를 더한 것이다.
極:다할극.旗:기기.坎:구덩이 감.
鳳熊胸背 盤領角帶(봉웅흉배 반령각대)
봉새와 곰의 그림을 가슴과 등에 붙이고.동정을 달고 각띠를 둘렀다.
鳳:봉새봉.熊:곰웅.胸:가슴흉.盤:소반반.
官儒道服 宕程毛製(관유도복 탕정모제)
문관과 유학자는 도포를 입으며, 탕건과 정자관은 털로 만든다.
儒:선비유.宕:방탕할 탕.程:단위 정.
蔽陽煖帽 套袖綿襪(폐양난모 투수면말)
머리에는 폐양(패랭이)과 추위를 막는 난모를 쓰며,
손목에는 투수(토시)를 차고 발에는 솜버선을 신는다.
蔽:덮을폐.煖:따뜻할 난.帽:모자모.套:덮개투.袖:소매수.
襪:버선 말.
花冠圓衫 巨髻維結(화관원삼 거계유결)
족두리를 쓰고 소매가 둥근 적삼을 입고,
큰 쪽을 쪄서 머리카락을 묶는다.
衫:적삼삼. 髻:상투계.
草笠蓮纓 小學童名(초립연영 소학동명)
풀로 엮은 삿갓을 쓰고 연밥을 꿰어 만든 갓끈을 매고,
소학동자로 이름을 삼았다.
笠:우리립.입.纓:갓끈영.
水田謂畓 羅祿曰稻(수전위답 나록왈도)
물로 농사짓는 밭은 논이라고 부르고,
신라의 녹봉을 의미하는 나록을 벼라고 말한다.
謂:이를위.祿:복록.녹.稻:벼도.
飼烏飯蒸 辟蟲豆炒 (사오반증 벽충두초)
까마귀를 기르기 위하여 찐밥을 먹이고 벌레를
물리치기 위하여 콩을 볶는다.
飼:먹일 사. 蒸:찔 증.辟:임금벽 炒:볶을 초
農時憂旱 太宗雨下(농시우한 태종우하)
농사때 가뭄을 걱정하면 태종우가 내린다.
旱:가물 한.
嘉俳秋夕 碓樂除夜(가배추석 대악제야)
추석에는 가배놀이를 하고 섣달 그믐날 밤에는 방아타령을 연주 했다.
俳:광대 배.碓:방아대.
扶婁赴夏 末欣拘夷(부루부하 말흔구이)
부루는 하나라에 가고 말사흔(미사흔)은 왜에 구금 되었다.
婁:별이름루.누.赴:나아갈부.欣:기쁠흔.夷:오랑캐 이.
復矢愚達 代命忠堤(복시우달 대명충제)
국토의 회복을 맹세한 바보 온달과 목숨을 대신바친
충성스런 박제상이라.
愚:어리석을우.堤:방죽제.
解經方言 降巢飛檄(해경방언 항소비격)
경서를 방언으로 해석하고 격서를 날려보내
황소를 항복하게 하였다.
巢:집소.檄:격문격.
聯唐庾信 破隋文德(연당유신 파수문덕)
당나라와 연합한 김유신이요.수나라를 물리친 을지문덕이라.
庾:곳집유.隋:수나라수.
斯多含郞 千餘徒生(사다함랑 천여도생)
화랑 사다함은 천여명의 생도를 거느렸다.
斯:이사.含:머금을 함,徒:무리도.
萬春卻敵 姜贊宣威(만춘각적 강찬선위)
양만춘은 적을 물리치고 .강감찬은 위엄을 떨치었다.
卻:물리칠 각.威:위엄위.
階殺妻孥 豊存邦畿(계살처노 풍존방기)
계백장군은 아내와 자식들을 죽이고, 왕자 풍은 나라를 보존하였네.
階:섬돌계.孥:자식노.
尸諫后稷 肉戰丕寧(시간후직 육전비녕)
죽음으로 간한 김후직, 비녕자는 몸으로 싸웠네.
諫:간할간.后:임금후.稷:기장직.丕:클비.
石磬淸響 竹橋血凝(석경청향 죽교혈응)
돌종 소리는 맑게 울리고, 선죽교에는 피가 엉기었네.
磬:경쇠경.響:울릴향.凝:엉킬응.
甲子适變 乙巳僞約(갑자괄변 을사위약)
갑자년에 이괄이 변을 일으키고.을사년에는 거짓조약을 맺었다네.
适:빠를괄.僞:거짓위.
丙寅洋擾 丁酉再掠(병인양요 정유재략)
병인년에 서양이 시끄럽게 하고.정유년에 다시 노략질을 하였네.
擾:어지러울 요. 掠:노략질략.약.
戊午株連 己卯網打(무오주연 기묘망타)
무오년에 연루자가 모두 처벌되고.기묘년에는 일망타진 되었네.
網:그물 망.
庚戌屋社 辛酸未妥(경술옥사 신산미타)
경술년에 왕실이 망하여 집안으로 되었으니,
괴롭고 편안하지 못하였다.
酸:초산.妥:온당할 타.
壬辰倭亂 癸丑斁倫(임진왜란 계축두륜)
경술년에 왕실이 망하여 집안으로 되었으니,
괴롭고 편안하지 못하였다.
倭:왜국왜.斁:석을두.역.
亥訟構罪 申理平反(해송구죄 신리평반)
기해년 예론의 다툼으로 죄를 받았다가, 다시 다스림에
의하여 바르게 되었다.
構:얽을구.
晦軒倡緖 圃隱繼燭(회헌창서 포은계촉)
안유는 실마리를 일으키고, 포은이 촛불을 이었네.
晦:그믐회.軒:추녀헌.倡:여광대 창.圃:밭포.隱:숨길은.
靜高資稟 退深純慤(정고자품 퇴심순각)
정암은 높은 바탕을 지녔고, 퇴계는 순수하고 성실함이 깊었다.
稟:줄품.慤:성실할 각.
栗正發揮 沙嚴禮敬(률정발휘 사엄예경)
율곡은 바르게 발휘하였으며, 사계는 예와 경에 엄하였다.
揮:휘두를휘. 沙:모래사.
展也尤成 尊攘談柄(전야우성 존양담병)
진실로 우암이 이룬 것은, 중국을 높이고
오랑캐를 물리치는 것으로 이야기의 근본을 삼은 것이네.
攘:물리칠 양.
東魯近思 賢粹續錄(동노근사 현수속록)
우리나라의 근사록은,
어질고 순수한 분들의 말씀이 곧 근사록 속록이다.
魯:노둔할로.노.粹:순수할수.
湛齋出處 重峯氣魄(담재출처 중봉기백)
담재의 나아가고 물러남이요, 중봉의 기백이라.
湛:즐길담.齋개계할재.魄:넋백.
舍筐仰鳥 硏精忘暮(사광앙조 연정망모)
광주리를 놓고 새를 쳐다보며,
자세히 살피다가 저무는 것도 잊었네.
筐:광주리 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