生活倉庫(생활창고)

三父 八母(삼부 팔모)

華谷.千里香 2012. 12. 15. 10:32

 

 

 

 

 

 

 

三父 八母(삼부 팔모)

  

 * 三父(삼부) 

    ①親父(친부): 낳아준 아버지

    ②同居 繼父(동거계부)

    ③不同居 繼父(부동거계부)

 

三父(삼부)는 同居繼父(동거계부)

不同居繼父(부동거계부)

元不同居繼父(원부동거계부)를 말하며,

八母(팔모)는 嫡母(적모).繼母(계모).養母(양모).慈母(자모).

嫁母(가모).出母(출모).庶母(서모).乳母(유모)를 말한다. 

喪禮(상례)에 정해진 服制(복제)를 입는다.

 

동거계부는 어려서 어머니가 개가했을 때 어머니를

따라 계부의 집에 들어가 그 계부가 죽을 때까지 같이 살면서

양육의 은혜를 입은 경우의 계부를 일컫는 것이다.

이 경우 계부에게 자식이 없고 양자도 없을 뿐 아니라

大功(대공) 이상의 친척이 없는 경우에 한하여서

不杖朞(부장기)의 服(복)을 입도록 규정하였다.

 

부동거계부는 어려서 어머니가 개가할 때 함께 따라가 장성하였으나

분가한 뒤 헤어져 살게 된 계부를 일컫는 것으로

齊衰(재최) 3월의 복을 입어 양육의 은혜를 갚도록 규정하였다.

 

원부동거계부는 어머니가 개가할 때 함께 따라가지 않았고

양육의 은공도 없는 계부를 일컫는 것인데,

복은 은혜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이 경우에는 복이 없다.

한편, 삼부의 사이에서 출생한 같은 어머니의 형제와 자매에 대해서는

모두 대공 9개월의 복이 있다.

 

 *八母(팔모)

     ①嫡母(적모):본처의 아들이 생모를 일컬으거나,
                  첩의 아들이 아버지의 본부인인 어머니를 일컬음.

     ②繼母(계모):어머니가 없을 경우 아버지가 처녀장가를 들었을때의 새 어머니

     ③庶母(서모): 아버지가 결혼했던 여자와 결혼했거나,

                         아버지의 첩인 새 어머니

    ④乳母(유모): 아버지와 부부관계는 아니면서 나에게 젖을 먹여 길러준 어머니

    ⑤養母(양모): 아버지와 부부관계는 아니면서

                         나를 길러준 어머니(젖 먹이지 않음)

    ⑥慈母(자모): 첩의 아들이 자기의 생모는 없고 아버지의 다른 첩에게서

                        길러졌을때  그 다른  첩을 일컬음. 

    ⑦嫁母(가모): 개가한 어머니

    ⑧出母(출모): 어떤 이유로 어버지로 부터 내침을 당한 어머니

 

#.상기 三父 八母는 喪事時 五服制의 服制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