知識倉庫(지식창고)
人生五計와 五滅(오멸)
華谷.千里香
2013. 3. 6. 14:08
人生五計와 五滅(오멸)
송나라 학자 朱新仲의 人生五計論이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면서
조선중기에 전통 선비층을 중심으로 어떻게 해야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편안한 마음으로 맞을수 있느냐는
死計(사계)문화가 번져 있었으며, 이 유행으로 나타난것이
이른바 ‘五滅(오멸)’이라는 노후철학 이었습니다.
人生 五計(인생오계)
生計(생계):먹고 사는 계획.
家計(가계):가족의 행복을 위한 계획
身計(신계):건강을 위한 계획.
老計(노계):노후 관리를 위한 계획
死計(사계):죽음에 대한 계획입니다.
*각자의 형편에 맞는 계획을 잘 세워
실천한다면 살아 있는 동안 유익할것 같습니다.
五滅(오멸)
滅財(멸재)
삶에 미련을 잡아두는 재물을 극소화해야 죽음이 편안해 진다,
滅怨(멸원)
살아오는 동안 남에게 산 크고 작은 원한을
애써 풀어 버릴수록 죽음이 편안해지며,
滅債(멸채)
남에게 진 물질적 정신적 부채를 청산하는 일입니다.
滅情(멸정)
정든 사람, 정든 물건으로 부터 정을 뗄수록 죽음이 편해지며,
滅亡(멸망)
죽어서도 죽지않고 산다는 것입니다.
*이 멸망은 ‘망하여 없어진다’는 뜻이 아니라
‘결딴나지 않게 한다’는 것으로 죽어서도
산사람과 더불어 산다는 우리 제례문화의 바탕을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