知識倉庫(지식창고)

耳明酒(이명주)

華谷.千里香 2014. 2. 14. 12:14

 

 

 

耳明酒(이명주)

새해가 되어 처음으로 맞는 보름날을 뜻하는

정월 대보름(음력 115)은 부럼, 나물 등을 먹으며

한해의 안녕을 기원할 뿐 아니라 귀밝이술을 마시기도 한다.

귀밝이술은 정월 대보름 아침 식전에 소주나 청주를 차게 해서

마시는 술로 이 술을 마시면 귀가 밝아지고 그 해 일년 동안

즐거운 소식을 듣는다는 유래가 있다.

이 때문에 이명주(耳明酒), 치롱주(癡聾酒), 총이주(聰耳酒)등으로도

불리운다.

귀밝이 술은 따로 빚는 방법이 있는 것은 아니며

술의 보관 방법과 마시는 시간등의 풍습으로 구분한다.

음력 11일인 정월 설날 아침, 차례상을 올릴 때 사용했던

맑은 술을 정월 대보름날 사용하면 귀밝이 술이라고 부르며,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마시는 풍습이 있다.

귀밝이술 풍속은 제화초복(除禍招福)을 기원하는 세시풍속의 하나이다.

귀밝이술은 데우지 않고 차게 마신다는 점에서 보통 때 마시는

청주와 차이를 보인다.

이처럼 귀밝이술을 차게 해서 마시는 이유는 벽사(辟邪)의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서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침 식사로 보름밥을 먹기 전에 마시는 술이기 때문에 많이 마시지

않고 한 잔 정도씩 마시며, 아이들은 입술에 술을 묻혀주는 등으로

대신한다.

귀밝이 술은 공복에 마시며 한 해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마시는

술이기 때문에 부럼을 깨어 안주로 함께 먹어도 좋다.

정월 대보름에 먹는 땅콩, 호두, 잣 등의 부럼은 불포화지방산을

다량 함유해 건강에 좋다.

전통적인 풍습을 따르며 귀밝이 술을 마셔보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 아닐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