六神 早見表(육신조견표)
六神表出法(육신표출법)
사주팔자로 인생의 길흉화복을 보는데 있어 육친(六親),
즉 부모, 처, 자, 형제와 자신을 떼어놓고 설명할 수 없다.
사주상에서는 육친을 육신 또는 통변성(通變性)이라고도 한다.
즉 인수,편인,비견,겁재,식신,상관,정관,편관,정재,편재등이 그것이다.
이는 천간의 음양오행 관계에서 나오는 바,
日主를 중심으로 하여 보며 그 관계는 다음과 같다.
인수(印綬) : 일주(日主)를 생하고 음양이 다른 것
편인(偏印) : 일주(日主)를 생하고 음양이 같은 것
비견(比肩) : 일주(日主)와 음양과 오행이 같은 것
겁재(劫財) : 일주(日主)와 음양이 다르고 오행이 같은 것
식신(食神) : 일주(日主)가 생해주고 음양이 같은 것
상관(傷官) : 일주(日主)가 생해주고 음양이 다른 것
정재(正財) : 일주(日主)가 극하고 음양이 다른 것
편재(偏財) : 일주(日主)가 극하고 음양이 같은 것
정관(正官) : 일주(日主)를 극하고 음양이 다른 것
편관(偏官) : 일주(日主)를 극하고 음양이 같은 것
天干 六神 早見表(천간육신조견표)
六神 |
비견 |
겁재 |
식신 |
상관 |
편재 |
정재 |
편관 |
정관 |
편인 |
인수 |
甲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乙 |
乙 |
甲 |
丁 |
丙 |
己 |
戊 |
辛 |
庚 |
癸 |
壬 |
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甲 |
乙 |
丁 |
丁 |
丙 |
己 |
戊 |
辛 |
庚 |
癸 |
壬 |
乙 |
甲 |
戊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甲 |
乙 |
丙 |
丁 |
己 |
己 |
戊 |
辛 |
庚 |
癸 |
壬 |
乙 |
甲 |
丁 |
丙 |
庚 |
庚 |
辛 |
壬 |
癸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辛 |
辛 |
庚 |
癸 |
壬 |
乙 |
甲 |
丁 |
丙 |
己 |
戊 |
壬 |
壬 |
癸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癸 |
癸 |
壬 |
乙 |
甲 |
丁 |
丙 |
己 |
戊 |
辛 |
庚 |
地支 六神 早見表(지지육신조견표)
六神 |
비견 |
겁재 |
식신 |
상관 |
편재 |
정재 |
편관 |
정관 |
편인 |
인수 |
甲 |
寅 |
卯 |
巳 |
午 |
辰戌 |
丑未 |
申 |
酉 |
亥 |
子 |
乙 |
卯 |
寅 |
午 |
巳 |
丑未 |
辰戌 |
酉 |
申 |
子 |
亥 |
丙 |
巳 |
午 |
辰戌 |
丑未 |
申 |
酉 |
亥 |
子 |
寅 |
卯 |
丁 |
午 |
巳 |
丑未 |
辰戌 |
酉 |
申 |
子 |
亥 |
卯 |
寅 |
戊 |
辰戌 |
丑未 |
申 |
酉 |
亥 |
子 |
寅 |
卯 |
巳 |
午 |
己 |
丑未 |
辰戌 |
酉 |
申 |
子 |
亥 |
卯 |
寅 |
午 |
巳 |
庚 |
申 |
酉 |
亥 |
子 |
寅 |
卯 |
巳 |
午 |
辰戌 |
丑未 |
辛 |
酉 |
申 |
子 |
亥 |
卯 |
寅 |
午 |
巳 |
丑未 |
辰戌 |
壬 |
亥 |
子 |
寅 |
卯 |
巳 |
午 |
辰戌 |
丑未 |
申 |
酉 |
癸 |
子 |
亥 |
卯 |
寅 |
午 |
巳 |
丑未 |
辰戌 |
酉 |
申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