御製童蒙先習序(어제동몽선습서)
御製童蒙先習序(어제동몽선습서)
夫此書(부차서): 이 책은
卽東儒所撰也(즉동유소찬야): 우리나라 선비가 지은 것이다.
總冠以五倫(총관이오륜): 첫머리에서 오륜에 대한서 총괄적으로 논하고,
復以父子君臣夫婦長幼朋友(부이부자군신부부장유붕우):
그 다음은 이것을 다시 부자.군신.부부.장유.붕우로
列之于次(열지우차): 순서를 열거(列擧)하였다.
而其自太極肇判(이기자태극조판): 태극(太極)이 비로서 나누어짐으로부터
三皇五帝夏殷周漢唐宋以至皇朝(삼황오제하은주한당송이지황조):
삼황.오제.하.은.주.한.당.송을 거쳐 명나라에 이르기까지
歷代世系(역대세계): 역대의 대대의 혈통(血統)이
纖悉備錄(섬실비록):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逮夫我東(체부아동): 우리나라에 이르러서는
始檀君(시단군) : 단군에서 부터
歷三國(역삼국) : 삼국을 거처
至于我朝(지우아조) : 조선에 이르기까지
亦爲俱載(역위구재) : 역시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文雖約(문수약) : 글은 비록 간략하나
而祿則博(이록칙박) : 그 범위는 넓고,
卷雖小(권수소) : 책은 비록 작으나
而包則大(이포칙대) : 그 속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크다.
其況堯舜之道(기황요순지도) : 더군다나 요.순의 도는
孝弟而已(효제이이) : 효제일 뿐이랴.
舜之命契(순지명계) : 순이 계(契)에게 명하여
以五品爲重(이오품위중) : 오품을 중히 여기게 했으니,
此文之冠以五倫者(차문지관이오륜자): 이 책의 첫머리에 오륜을 말한 것은
其意宏矣(기의굉의): 그 뜻이 대한히 깊다
噫(희) : 아,
孝於親然後(효어친연후): 어버이에게 효도하고 나서
忠於君(충어군) : 임금에게 충성하고,
弟於兄然後(제어형연후): 형에게 공손하고 나서
敬于長(경우장) : 어른을 공경하니,
以此觀之(이차관지) : 이것을 가지고 본다면
五倫之中(오륜지중) : 오륜 가운데
孝弟爲先(효제위선) : 효제가 제일이다.
雖然(수연) : 그러나
詩贊文王曰於緝熙敬止(시찬문왕왈어집희경지) :
시경에서 문왕을 칭송하여 말하기를,"아! 공경의 덕을 밝히셨네,"라고 했다.
敬者(경자) : 공경이란,
成始終徹上下之工夫也(성시종철상하지공부야) :
일의 시작과 끝맺음을 바로 하고,위와 아래를 이어주게 하는 공부인 까닭에
故(고) : 그래서
大學要旨(대학요지) :〈대학〉의 요지는
卽敬字也(즉경자야) : 곧 경(敬)이란 한 글자로,
中庸要旨(중용요지) : 〈중용〉의 요지는
卽誠字也(즉성자야) : 곧 성(誠)이란 한 글자로 통한다.
誠敬(성경) : 성.경은
亦於學問(역어학문) : 또한 학문에 있어서
車兩倫鳥兩翼者也(거양륜조양익자야) :
수레의 두 바퀴,새의 두 날개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今予於此書(금여어차서) : 내 이제 이 책의 첫 편에서
以誠敬二字(이성경이자) : 성·경, 두 글자를
冠于篇首(관우편수) : 책머리에서 강조하노라
誠然後(성연후): 마음을 정성스럽게 한 후에야
能免書自我自(능면서자아자) :
책은 책대로, 나는 나대로 되는 것을 벗어날 수 있고,
敬然後(경연후) : 공경히 한 후에야
可以欽體欽遵(가이흠체흠준) : 가르침을 본받고 따를 수 있는 것이니,
學豈可忽乎哉(학기가홀호재): 배움에 있어 어찌 가벼이 할 수 있겠는가
予又於券下國初開創(여우어권하국초개창):
나는 또 이 책맨 마지막에 나오는,나라를 처음 세우고서
受號朝鮮之文(수호조선지문): 조선이라는국호를 받았다는 부분에 이르러서,
慨然追慕(개연추모) : 개연히 추모하여
三復興感也(삼복흥감야) : 감탄의 말이 입에서 절로 나옴을 금치 못했다.
噫(희) : 아아
繼繼承承(계계승승) : 왕업을 대대로 이어받서
重熙累洽(중희누흡) : 문물이 빛나고 정치가 밝았던 것은
寔是至仁盛德沈恩隆惠(식시지인성덕심은융혜) :
참으로 지극하신 인덕과 융숭한 은혜가
垂裕後昆之致(수유후곤지치) : 후손에게 미친 까닭이다.
繼體之君(계체지군) : 앞으로 왕업을 이어받는 임금들도
式體之德(식체지덕) : 이 지극한 인덕을 본받아서
至于蕩蕩(지우탕탕) : 삼가고 경계하여
誠心愛民(성심애민) : 성심으로 백성을 보살펴
永保元元(영보원원) : 영원히 보전한다면,
則吾國其庶幾也(칙오국기서기야) :
우리나라도 그 앞날을 크게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且我東禮義(차아동예의) : 또한 우리나라의 예의가
雖因箕聖之敎(수인기성지교) : 비록 기성(箕聖)의 가르침에서 나왔다지만,
三韓以後(삼한이후) : 삼한(三韓) 이후로는
幾乎泯焉(기호민언) : 거의 없어지고 말았다.
入于我朝(입우아조) : 우리 조선에 들어와서
禮義畢擧(예의필거) : 예의가 밝아지고
文物(문물) : 문물이
咸備(함비) : 모두 갖추 어졌건만
惜乎(석호) : 안타깝게도
術者之猶遺乎此哉(술자지유유호차재) :
이 책을 지은이가 이은이가 이것을 빠뜨리고 써넣지 않았다.
嗟爾小子(차이소자) : 아아! 어린이들이여,
益加勉旃也夫(익가면전야부) : 더욱 힘슬지어다.
時玄黓閹茂朝月上浣(시현익엄무조월상완) : 임술년 정월 상한(上澣)에
命芸館而廣印(명운관이광인): 예관에 명하여 이 책을 널리 간행하도록 하고,
作序文於卷首(작서문어권수): 책 첫 머리에 서문을 쓰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