童蒙先習(동몽선습)終

父子有親(부자유친)

華谷.千里香 2014. 8. 9. 18:26

 

 

 

父子有親(부자유친) 

                부모와 자식 사이의 그 친애함이 있다.


父子(부자) : 부모와 자식 사이의 친애함은

天性之親(천성지친) : 타고난 성품이니,

生而育之(생이육지) : 부모는 자식을 낳아서 기르고

愛而敎之奉而承之(애이교지봉이승지):

                     사랑하여 가르치며,자식은 부모의 뜻을  받들어서

孝而養之(효이양지) : 효도하여 봉양한다.

是故(시고) : 그러므로

敎之以義方(교지이의방) : 부모는 자식을 바른 도리로써 가르쳐서

弗納於邪(불납어사) : 나쁜 길로 들어서지 못하게 하며,

柔聲以諫(유성이간) : 자식은 부드러운 말로 부모의 잘못을 간(諫)하여서

不使得罪於鄕黨州閭(부사득죄어향당주려):

              고을과 마을에서 죄를 짓는 일이 없게 하여야 한다.

苟或父而不子其子(구혹부이불자기자):

           진실로 혹시 부모로서 그 자식을 자식을 자식으로 대하지 않고,

子而不父其父(자이부부기부):자식이 그 부모를 부모를 부모로 받들지 않는다면,

其何以立於世乎(기하이입어세호):무슨 낯으로 세상에 설 수 있겠는가.

雖然(수연) : 그러나

天下(천하) : 천하에는

無不是底父母(무부시저부모) : 옳지 않은 부모는 없으니,

父雖不慈(부수불자) : 부모가 비록 자애롭지 못하더라도

子不可以不孝(자부가이부효) : 자식은 효도하지 않으면 안 된다.

昔者(석자) : 옛날에

大舜(대순) : 순(舜)에게는

父頑母嚚(부완모은) : 아버지는 완고하고 어머니는 모질어서

嘗欲殺舜(상욕살순) : 항상 순을 죽이고자 했으나

舜(순) : 순(舜)이

克諧以孝(극해이효) : 화락하게 하며, 효도로써

烝烝乂不格姦(증증예부격간):

               점점 선의 길로 이끌어 간악한 데 이르지 않게 하였으니,

孝子之道(효자지도) : 효자의 도리가

於斯(어사) : 이에

至矣(지의) : 지극한 데 이른 것이다.

孔子曰五形之屬(공자왈오형지속) :공자가 말하기를 "오형에 속하는 죄가

三千(삼천): 삼천 가지이지만

而罪(이죄) : 그  죄가

莫大於不孝(막대어부효): 불효보다도 더 큰 것이 없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