祭禮(제례)
家禮輯覽의 祭羞를 담는 그릇의 기준
華谷.千里香
2010. 7. 22. 20:16
家禮輯覽의 祭羞를 담는 그릇의 기준
1.예서마다 제수그릇의 수(접시 수)를 예시하였으나 그 이유가 명시되지 않았다.
그러나 沙溪선생의 가례집람에는 그 이유가 다음(각항)처럼 명시되어 있다.
2.땅에 뿌리를 박은 곡식이나 채소 과실은 地産
곧 陰産이므로 같은 줄에 차릴때는 짝수(陰數)로 한다.
① 메와 갱은 신위 수대로 하므로 짝수를 지킬 수가 없다.
② 면과 병은 곡식으로 만들고 같은 줄에 차리므로
麪(면),餠(병)을 합해서 짝수로 한다.
③ 과실은 生果이든, 造菓이든 음산이자 같은 줄에 진설하므로 짝수로 한다.
3.땅에 뿌리를 박지 않은 肉類나 魚類는 天産
곧 陽産이므로 같은 줄에 차릴때는 홀수(陽數)로 한다.
①탕(湯)은 고기,생선이 재료이고 같은 줄에 진설하므로
홀수인 3접시 또는 5접시이다.
②전(煎)과 적(炙)은 고기,생선이 재료이고 같은 줄에 진설하므로
합해서 홀수로 한다.
③ 전은 2종류 또는 4종류이고,적은 三炙이므로 합해서 홀수가 된다.
④ 지산과 천산을 같은 줄에 진설할 경우는 접시수가 홀수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