古今笑叢(고금소총)
避蚤蝎方[피조갈방]
華谷.千里香
2017. 4. 1. 14:57
避蚤蝎方[피조갈방]
벼룩과 빈대를 피하는 방법
夫婦夜行房事之時 曉月滿窓[부부야행방사지시 효월만창]
부부가 밤에 방사를 행할때에 새벽 달은 창에 가득한지라
傍宿之小子 適爲衾風之所覺[방숙지소자 적위금풍지소각]
곁에서 자던 어린 아들이 마침 이불 바람에 잠을 깨고보니
而見之則[이견지즉]
이것을 본즉
其父伏在於母之腹上 兒莫知其故[기부복재어모지복상 아막지기고]
그 아비가 어미의 배위에 엎드려 있거늘 아이가 그 까닭을 알지못하고
怪而問之曰[괴이문지왈]
괴이하게 생각하여 묻기를
"父何伏宿於母之腹上[부하복지숙어모지복상]?"
"아버지는 어찌 어머니의 배 위에서 엎드려 자는지요?"
其父無答[기부무답]
그 아비가 대답할 말이 없어
以遁辭答之曰[이둔사답지왈]
억지로 꾸민 말로 대답하기를
“避蚤蝎之不噬[피조갈지불서]"
"벼룩과 빈대가 무는것을 피하려고 한다"하니
兒曰[아왈]
아이 말이
吾亦難堪蚤蝎之噬[오역난감조갈지서]
나 역시 벼룩과 빈대가 무는것을 견디기 어려우니
吾則當伏宿於父之背上矣[오즉당복숙어부지배상의]"
나는 마땅히 아버지의 등 위에 엎드려 자겠습니다!"하더라
噬[서]:물다,씹다.
遁辭[둔사]:어떤 관계나 책임을 회피하려고 억지로 꾸며서 하는 말,
難堪[난감]:견디기 어려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