知識倉庫(지식창고)
節不知(절부지)
華谷.千里香
2018. 1. 1. 10:37
節不知(절부지)
철부지는 節不知(절부지)라는 한자에서 나온 말이다.
철은 봄,여름,가을.겨울 사철이고 節(절)은 계절이다
철부지,節不知(절부지)는 사철,계절을 알지 못한다는 말이니
철따라 계절따라 자연의 變化(변화)와 이치에 따라
해야 할 일을 알지 못한다는 뜻이다.
철 들었다,철 났다는 말은 철따라 계절따라
自然(자연)의 변화와 이치에 따라 해야 할 일을 알고 행한다는 뜻이다.
스스로를 節制(절제)하여 節儉(절검)節約(절약)
節度(절도)와 節槪(절개)를 잘 지켜나가고
술을 적당히 마시어 節酒(절주)하며
節氣(절기)에 맞춰 일(농사)에 부지런 하는것
그러므로 節(절)의 중요성을 잘 깨닫고 스스로 節(절)을 잘 조절해야 한다.
만약 節(절)의 중요성을 알지 못하고 무절제하게 살아간다면.
이런 사람을 일컬어 節(절)을 모르는 節不知(철부지)라고 한다.
節(절)을 잘 지켜나가면 생활에 안전을 찿을수 있기에 安節(안절)이 되며
節(절)을 지키지 않으면 不節(부절)이 되어 고난과 고통이 따르게 되니
節(절)을 지키지 않는 게으른 생활을 하면
나날이 불안하고 초조한 安節不節(안절부절)못하는 인생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