農夫之婦:(농부지부.농부 아내의 지조)
農夫之婦:(농부지부.농부 아내의 지조)
한 선비가 말을 타고 시골길을 가는데,
너댓 명의 여인들이 호미를 들고 밭에서 김을 매고 있었다.
그들이 부르는 노래를 듣고 있자니 한 여인이
먼저 선창(先唱)을 하고,다른 여인들이 따라 부르는 것이었다.
그런데 그 노래 가사가 보통의 잡가(雜歌)가
아닌 듯하여 유심히 귀를 기울이니,
그것은 서경(書經)의 '무일편(無逸篇)'과
시경(詩經)의 '빈풍'에 있는 내용들이었다.
곧 선비는 선창을 하는 여인이
보통의 무식한 선비가 아니라는 생각이 들자,
마음이 끌려 만나보고 싶었다.
그리하여 근처 언덕에 앉아 바라보고 있으니,
해가 기울어 여인들이 일을 끝내고
호미를 어깨에 걸친 채 마을로 돌아가는 것이었다.
이에 선비는 선창을 하던 여인의 뒤를 따라갔다.
그리하여 한 초가집으로 들어가는 것을 확인하고,
종을 시켜 만나보고 싶다는 편지를 전하게 했다.
그러자 여인은 다음과 같은 시 두 편을 보내왔다.
그 첫 번째 시는 이러했다.
終日相看十目視(종일상간십목시)
하루 종일 바라보며 서로 눈길 주면서
有情無語似無情(유정무어사무정)
정이 있어도 말을 못해 정이 없는 것 같았네.
蹇裳涉洧非難事(건상섭유비난사)
치마 걷고 강물 건너기 어렵지는 않지만
曾與農夫許不更(증여농부허불경)
일찍이 농부에게 허락한 몸 바꾸지 못하리.
그리고 두 번째 시는 이런 내용이었다.
昔在長安日(석재장안일)
옛날 서울에 있던 그 날에
何不日黃昏(하불일황혼)
어찌 황혼시 와서 말하지 않았는고?
晩作農家婦(만작농가부)
이제 늦어 농부의 아내가 된 지금은
沙田去草根(사전거초근)
모래밭에서 풀뿌리만 뽑고 있도다.
이 시를 본 선비는 그 여인의 지조를 알고
스스로를 부끄럽게 여기며 발걸음을 돌렸더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