家庭寶鑑(가정보감)

上樑文(상량문)

華谷.千里香 2010. 10. 2. 19:29

 

 

西

0

0

備應

人天

間上

之之

五三

福光

 

 

                                                                                       

☆맨 위에 龍字는 거꾸로 쓰는 것임.

龍자를 컴으로 거꾸로 못쓰니 바로 썼습니다(죄송).

 

 상량문에 龍(용)’과 龜(구)는 반드시 들어가야 하는 글자로,

용과 거북이는 물의 상징이기 때문에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의미가 있어, 상량문에 앞뒤로 붙이는 ‘龍龜’자는 

성스러운 동물인 용과 거북이를 앞세워 나쁜 것을 물리치고

좋은 일만 있길 바란다는 의미라고 합니다.

 

龍(용)자를 거꾸로 쓰는 이유는

마지막 글자인 龜(구)와 마주보게 하기 위해서 랍니다.

------------------------------

 

상량 문구중 應天上之五光 이라 흔히 쓰는데

하늘에는 日(해),月(달),星(별.북두칠성) 3광 뿐이므로

三光이라고 쓰는것이 합리적이다. 

인간지오복이라 함은 서경(상서) 홍범편과 적호의 통속편에 연원을 두고 있음을
한국 민족문화대백과에서 밝히고 있습니다
서경홍범편의인간지五福-壽(수),富(부),康寧(강녕),攸好德(유호덕),考終命(고종명)
적호 통속편의 인간지 五福-壽(수),富(부),貴(귀),康寧(강녕),子孫衆多(자손중다) 


五福의 으뜸인 壽란 것은 오래 살되 남에게 누를 끼치지 않으며

富란 것은 經濟的 富를 이르기도 하지만

마음이 恒時 넉넉한 것(心常富)를 이르고 있으며

康寧은 마음이 넉넉하고 편안함으로부터 집안이 平和스럽고

幸福을 누리는 것을 말하며 결국 攸好德에 이르게 된다.

攸好德이란 德을 좋아해서 德을 쌓고 그 德을 베풀면서 살아가는 것이요,

그러다가 天命을 다하다 죽는 것을 考終命이라 이르는데

이것이 人間의 窮極的인 삶의 理由로 聖賢들의 哲學이기도 했으며

집안에서 이를 實踐하기를 바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