莎草立石.移葬火葬(사초입석,이화장)

墓碑(묘비)

華谷.千里香 2014. 11. 2. 18:15

 

 

 

 

 

 

墓碑(묘비)

 

墓表(묘표)

죽은 사람의 벼슬 명.이름.생몰연월일.행적.묘주(墓主)등을 새겨

무덤 앞에 세우거나 평평히 놓는 푯돌, 표석(表石)이라고도 한다.

돌비석을 세우면 묘비(墓碑).묘석(墓石)이라고 한다.


자연석 또는 가공한 석재를 사용하는데 그리스의 묘표는 대리석에

죽은 사람의 모습을 양각했다.

중국에서 묘옆에 고인의 사적을 적은 비를 세운것은 한대(漢代)에

시작된 일이며 묘탑을 사용한 것은 당(唐)나라 이후의 일이다.

한국도 중국의 묘제(墓制)에 연유하여 예로부터 묘표를 세우는

풍습이 보편화되었다.

 

墓碣(묘갈)

무덤 앞에 세우는 머리 부분이 둥그스름한 작은 돌비,

묘갈은 죽은 사람의 성명.세계(世系).행적.출생.사망.장례의

연월일.자손의 개황등을 돌에 새겨서 무덤의 표지로 삼고,

죽은 사람의 사업을 후세에 전하기 위하여 세운다.


문체명변(文體明辯)의 묘갈문에 보면,반니(潘尼)가 반황문(潘黃門)의

묘갈문을 지었으니,묘갈문을 만드는 것은 진(晉)나라에서 비롯되었다.

당(唐)나라의 묘갈 제도는 받침돌은 모나고,머리 부분은 둥글며,

5품(品) 이하의 벼슬아치에만 세웠다.

옛날에는 갈(碣)과 비(碑)가 통용되었고,후세에 벼슬 등급으로써

명칭이 구별되었으나 실지는 크게 다를 것이 없다고 하였다.


한국에도 묘갈.묘비등의 명칭이 있는데,

문체는 비슷하여 명확한 구별이 없다.

다만 형태에서 묘비는 직사각형이고 묘갈에 비해서 규모가 크다.

특히 신도비(神道碑)는 거북받침 위에 직사각형의 비석을 세우고

그 위에 비 갓을 올려 놓았으며, 종2품 이상의 벼슬을 지낸

사람만 세울 수 있었다.


墓碑(묘비) 

무덤의 상석(床石) 우측에 세우는 비.아래에 농대(籠臺)

또는 반석(盤石),그 위에 비신(碑身),맨 위에 가첨석(加檐石)을 얹고,

특별한 경우에는 귀부(龜趺) 위에 비신을 얹고 이수(螭首)를 얹는다.

비신에는 사자(死者)의 관직.본관.성명.행적.자손.생몰연월일,

장지등을 기록한다.

요즈음은 가첨석이 없고 본관.성명.생몰연월일,

자손의 이름만 기록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碑石(비석) 

고인(故人)의 사적(事蹟)을 칭송하고 이를 후세에 전하기 위하여

문장을 새겨 넣은 돌.비(碑).빗돌.석비(石碑)등 여러 말이 있으며,

거기에 새겨 넣은 글은 금석문(金石文)이라 하여 귀중한 사료(史料)가 된다.


비석의 시초는 옛날 중국에서 묘문(廟門) 안에 세워 제례(祭禮)때

희생으로 바칠 동물을 매어 두던 돌 말뚝에서 비롯되었다 하며,

또 장례식 때 귀인(貴人)의 관을 매달아 광내(壙內)에 공손히

내려놓기 위하여 묘광(墓壙) 사방에 세우던 돌을 말하기도 한다.

그 돌을 다듬고 비면(碑面)에 공덕을 기입하여 묘소에 세우게 된것은

훨씬후세의 일이며,당시는 비석이라 하지 않고 각석(刻石)이라 하다가

이것을 비석으로 부르게 된 것은 전한(前漢) 말기나 후한 초의 일이다.

진대(秦代)이전의 각석으로는 우(禹)나라가 치수공사(治水工事)때

세웠다고 하는 구루비(岣嶁碑:河南省 衡山),주(周)나라 목왕(穆王)이

"길일계사(吉日癸巳)"의 4자를 새긴 단산각석(壇山刻石)등이 있으나

진위(眞僞)는 확실치 않다.

진나라 때는 시황(始皇)이 세운 추역산(鄒忌山).태산(泰山)의

각석등이 있고,한(漢)나라 이후에는 유서(儒書)나 불경(佛經)을

돌에 새긴석경(石經)도 유행하였다.


한국은 비석이 언제부터 세워졌는지 확실치 않으나,

고구려 때 광개토왕비(廣開土王碑)가 세워진 것으로 보아

그 이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진흥왕순수비(眞興王巡狩碑),창녕(昌寧)의 척경비(拓境碑),

백두산정계비(定界碑)등은 역사상 자랑할 만한 비석이다.

통일신라시대를 거쳐 고려시대에는 많은 비석이 세워졌으며,

조선시대에는 여러 종류의 비석이 성행하여 그 유품의 일부는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비석의 종류로는 묘비(墓碑)를 비롯하여 능비(陵碑).신도비(神道碑).

기적비(紀蹟碑).기념비.순수비.정려비(旌閭碑).송덕비(頌德碑).

애민비(愛民碑).영세불망비(永世不忘碑)등이 있으며,

그 밖에도 유허(遺墟).성곽(城廓).대단(臺壇).서원(書院).

묘정(廟庭).빙고(氷庫).교량.제지(堤池)등에 세우는 기적비가 있다.


비석은 대개 비신(碑身)과 이수(螭首).귀부(龜趺)로 되어 있으나

요즈음 서민층의 묘소에는 이수와 귀부 없이 비신만을 세우는 경우가 많다.

또 자연석의 일면을 갈아서 글을 새기고 위를 둥글게 한 것을

갈(碣)이라고 한다.

 

神道碑(신도비) 

왕이나 고관의 무덤 앞 또는 무덤으로 가는 길목에 세워 죽은 이의

사적(事蹟)을 기리는 비석.대개 무덤 남동쪽에 남쪽을 향하여 세우는데,

신도(神道)라는 말은 사자(死者)의 묘로(墓路),즉 신령의 길이라는 뜻이다.

신도비는 원래 중국 한(漢)나라 양진(楊震)의

고대위양공지신도비(故大尉楊公之神道碑)에서 비롯되어

당시는 종2품 이상의 관계(官階)를 지녔던 사람에 한하여 세웠다.

한국에서는 고려시대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이나 전하는 것이 없고

다만《동문선(東文選)》기타 문집에 비문(碑文)이 전할 뿐인데

당시는 3품 이상의 관직자 무덤에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시대에는 2품 이상에 한하여 세우는 것으로 제도화하였다.

남양주군 구리읍(九里邑)에 있는 건원릉(健元陵:조선 태조릉)의

신도비를 비롯하여 홍릉의 세종대왕 신도비,안산의 정난종(鄭蘭宗)

신도비,아산의 이순신 신도비등 전국 각지에 많은 신도비가 전한다.

그러나 문종은 왕릉에 신도비를 세우는 것을 법으로 금지하였고,

공신이나 석학(碩學)등에 대하여는 왕명으로 신도비를 세우게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