閏月(윤달)
우리나라에서는 太陰曆(태음력)과 太陽曆(태양력)의 誤差(오차)를
補正(보정)하기 위해 두는 한달을 윤달이라 하는데.
지구의 공전 주기인 太陽年의1년은 365,242196일이고
1朔望月(삭망월)은 평균 29,530588일이기 때문에
음력의 1년은 29,530588Ⅹ12=354,367056일이어서
양력보다 약 11일이 짧다.
음력29,53일로 1년을 만들면 약 354일이므로 3년만 지나면 33일 가량이
모자라게 되므로 음력은 세월이 지남에 따라 계절과 어긋나게 돌아가
16년 쯤이면 여름이었든 달이 겨울이 되고 겨울이었던 달이 여름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오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十九年七閏法(19년7윤법)
8년3윤법.또는 5년2윤법이라고 하여
19년에 7번.8년에 3번.5년에 2번 가량을 윤달을 두게 된다.
대략 3년에 한번 꼴로 한달을 넣어 1년을 13개월로 하는데.
이렇게 별도로 더 넣는 달을 윤달(閏月)이라고 한다.
윤달을 넣음에 置閏法(치윤법)에 따라.雨水나 春分.穀雨등과 같은
中氣가 없고.立春.驚蟄.淸明등의 節氣만 있는 달에 배치되는데.
이와 같이 중기가 들지 않는 달을 윤달로 하는 법을
無中置閏法(무중치윤법)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夏至가 들어있는 달이 음력5월인데.
음력의 그 다음 달인 6월에 大暑가 들어 있지 않고
그 다다음 달인 7월에 大暑가 들어 있다면
중간에 대서가 들어있지 않은 달(6월)은
윤5월이 되고 그 다음 달이 음력 6월이 되는 것이다.
예로부터 윤달은'썩은 달'이라고 하여,"하늘과 땅의 신(神)이
사람들에 대한 감시를 쉬는 기간으로,그때는 불경스러운 행동도
신의 벌을 피할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윤달에는 주로 집수리나 이사(移徙) 이장(移葬)을 하거나
수의(壽衣)를 만드는 풍습이 전해 내려왔다.
'윤동짓달 초하루'란 말의 윤 동짓달은 없는 달이란 뜻이 됩니다.
이런 특성 때문에 돈을 빌려 쓰고 윤동짓달 초하루에 갚겠다'고 하면
그것은 갚지 않겠다는 말로 통한다.
1900년부터 2099년까지윤달표.
1900(8)이란1900년에는
8월이 윤달이란 뜻입니다.
참고하세요.
1900 (8월)
1903 (5)
1906 (4)
1909 (2)
1911 (6)
1914 (5)
1917 (2)
1919 (7)
1922 (5)
1925 (4)
1928 (2)
1930 (6)
1933 (5)
1936 (3)
1938 (7)
1941 (6)
1944 (4)
1947 (2)
1949 (7)
1952 (5)
1955 (3)
1957 (8)
1960 (6)
1963 (4)
1966 (3)
1968 (7)
1971 (5)
1974 (4)
1976 (8)
1979 (6)
1982 (4)
1984 (10)
1987 (6)
1990 (5)
1993 (3)
1995 (8)
1998 (5)
2001 (4)
2004 (2)
2006 (7)
2009 (5)
2012 (3)
2014 (9)
2017 (5)
2020 (4)
2023 (2)
2025 (6)
2028 (5)
2031 (3)
2033 (11)
2036 (6)
2039 (5)
2042 (2)
2044 (7)
2047 (5)
2050 (3)
2052 (8)
2055 (6)
2058 (4)
2061 (3)
2063 (7)
2066 (5)
2069 (4)
2071 (8)
2074 (6)
2077 (4)
2080 (3)
2082 (7)
2085 (5)
2088 (4)
2090 (8)
2093 (6)
2096 (4)
2099 (3)
☆2033년11월 윤달은 문제가 된다고 함.
'生活倉庫(생활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月의 別稱(월의 별칭) (0) | 2012.12.20 |
---|---|
三父 八母(삼부 팔모) (0) | 2012.12.15 |
父母恩重經(부모은중경) (0) | 2012.07.13 |
單位(단위)를 나타내는 우리말 (0) | 2012.06.28 |
儀禮書式(의례서식)-短句賀頌(단구하송) (0) | 2012.06.01 |
儀禮書式(의례서식)-扶助金(부조금) (0) | 2012.05.25 |
二十四節氣(이십사절기)-冬節氣 (0) | 2012.05.12 |
二十四節氣(이십사절기)-秋節氣 (0) | 2012.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