舍廊房(사랑방)

犬者禾重(돼지 종자)

華谷.千里香 2012. 10. 3. 09:41

 

 

 

犬者禾重(돼지 종자)

 

 김삿갓이 저녁밥을 얻어먹을 요량으로
개성의 부자 尹東春(윤동춘)의 집에 들러

이런 저런 이야기로 시간을 벌고 있었다.

그런데 저녁때가 되니
젊은이가 들어와서 “人良且八” 이라고 하지 않은가?
이에 주인 尹東春은 “月月山山”이라고 대답하였다.

두사람의 주고 받는 말을 듣고 있던 김병연이

“犬者禾重”이라고 하면서 일어서려 하였다.

 
이에 기겁을 한 주인은 “선생을 몰라 뵈어 죄송하다”면서
깎듯이 머리를 숙이고 직접 안으로 들어가 부인을 시켜 
저녁상을 아들과 같이 들려 내왔고 저녁상을 물리고 나서
酒案床(주안상)까지 받으며 대접받았다는 이야기가 있다.

 

파자로 풀이하여 보면.

人良은 食(밥 식)을 破字한 것이요.
且八은 具(갖출 구)를 破字한 것이니 식사가 다 갖추어 졌는데
저 손님의 밥을 가져오느냐 기다렸다가 간 다음 가져오느냐를 묻는 내용이다.

이에 주인이 대답한 月月은 朋(벗 붕)을 破字한 것이요.
山山은 出(나갈 출)을 破字한 것이니

이 친구가 나가거든 가져오라는 뜻이 되는 것이다.

그때 김삿갓은 이를 알아 듣고 밥 얻어 먹기는 틀린것 같아 욕이나 하려고
犬者禾重(견자화중)이라고 한 것이니.

犬者는 猪(돼지저)를 破字한 것이요
禾重은 種(씨종)을 破字한 것이니 ‘돼지 종자의 집안’이라는

무서운 욕이 되는 것이다.
주인 윤동춘이 놀라지 않을 수 없었고 .

저녁상과 주안상을 들이지 않을 수 없었던 이야기다.

 

---------------------------------------------------------------------------

 

윗글에서 言者十一이 추가된 파자

하인:人良且八하오리까?

선비:月月山山커든.

친구:犬者禾重이로군

옆에 스님:言者十一이요.

 

요것을 破字(파자)로 풀어 보면은

 

人 + 良 = 食. 且 + 八 = 具....밥상을 갖추어 올리까?

月 + 月 = 朋. 山 + 山 = 出.....벗이 나가거든..

犬 + 者 = 猪. 禾 + 重 = 種.....돼지 종자로군.

言 + 者 = 諸. 十 + 一 = 士.....모두가 선비들 입니다.

 

'舍廊房(사랑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孟思誠의 일화  (0) 2013.02.02
사대독자의 殺人누명  (0) 2012.12.25
黑麒塚(흑기총)  (0) 2012.11.08
義湘大師(의상대사)와 天燈山(천등산) 미녀  (0) 2012.10.31
邵康節(소강절) 이야기 2.  (0) 2012.06.19
邵康節(소강절) 이야기 1.   (0) 2012.06.19
十格妙法(십격묘법)  (0) 2012.06.13
宇宙와 人間  (0) 2012.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