知識倉庫(지식창고)

祖.宗.君 差異點(조.종.군 차이점)

華谷.千里香 2015. 4. 5. 11:30

 

 

 

 

 

 

祖.宗.君(조종군) 差異點(차이점) 


祖(조)와 宗(종)

祖와 宗 같은 名稱(명칭)을 일컬어'廟號(묘호)'라고 하는데

歷代王(역대왕)과 王妃(왕비)의 神主(신주)를 모시고

宗廟(종묘)에 神位(신위)를 모실때 쓰기위한 것이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王이 죽고 난 후에 붙인 名稱(명칭)이다.

이 廟號(묘호)의 뒤에는 祖와 宗이 붙게 되는데,

보통 祖는'功'이卓越(탁월)한 王에게 붙이게 된다.

즉,나라를 세웠거나 變亂(변란)에서

百姓(백성)을 구한 커다란 業績(업적)이 있는 王이 祖가 된다.

 

朝鮮(조선)을 開國(개국)한'太祖'李成桂(태조이성계)가 그랬고,

壬辰倭亂(임진왜란)의 大患亂(대환란)을 극복한'宣祖(선조)'가 그랬다.

또한,大王이라고 推仰(추앙)을 받는 英,正祖'가 그랬다.

그리고 앞선 王의 治績(치적)에 이어'德'으로 나라를 다스리고

文物(문물)을 隆盛(융성)하게 한 平凡(평범)한 王은 宗(종)으로 부르게 된 것이다.

 

이러한 廟號(묘호)는 臣僚(신료)들이 王의 一生을 評價(평가)해 정했다고 한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이미 정한 廟號(묘호)를 바꾸는경우도 있었는데

 

例를 들면 宣祖(선조)의 경우,처음 廟號(묘호)가 宣宗(선종)이었으나

國難(국난:壬辰倭亂)극복등 커다란 공이 있다고 일부 臣下(신하)들이

주장해 宣祖(선조)로 바꿨다고 한다.

이와는 다르게'君(군)'이라는 稱號(칭호)도 보여진다.

君이라는 것은 원래 王子들이나 王의 兄弟(형제),

또는 宗親府(종친부)나 功臣(공신)에게 주어지던 호칭이었다.

그러나 光海君(광해군)과 燕山君(연산군)의 경우는 在位 期間中(재위기간중)

國家(국가)와 民生(민생)에 커다란 해를 끼친,暴君(폭군)으로서 폐위되었기

때문에 왕으로 대접하지 않고 君으로 降等(강등)된 것이다.

따라서 歷代(역대) 王과 王妃(왕비),追尊王(추존왕)실제로 王位에 오르지는

못했지만,죽은 뒤에 廟號(묘호)가 내려진 王과 王妃(왕비)의 神位(신위)가

奉安(봉안) 되어있는 王室(왕실)의 祠堂(사당)인 宗廟(종묘)에서도

光海君(광해군)과 燕山君(연산군)의 神位(신위)는 찾아 볼수가 없다.

 

訓民正音(훈민정음)을 創製(창제)한 世宗(세종)은 현재에는'世宗大王'으로

推仰(추앙)을 받고 있지만,當代(당대)에는'祖'의 班列(반열)까지오르기에는

未洽(미흡)한 王으로 인식되었던 것 같다.

또한,光海君은 中立外交로써 외교적 역량을 발휘 했지만, 反政勢力(반정세력)의

正當性(정당성) 確保(확보)를 위해'君'으로 낮춰 기록된 것으로 보여진다.

 

祖 - 太祖.世祖.宣祖.仁祖.英祖.正祖.純祖등 7명으로

創業君主(창업군주),中興君主(중흥군주)나 큰 國難(국난)을 극복하였거나,

反政(반정)을 통해 卽位(즉위)한 王들을 말하며,

 

宗- 27명의 왕 중 9명을 뺀 나머지 왕들로'守成(수성)'을

한 王에게 붙혀지며,祖와 宗의 기준이 曖昧(애매)하며

당시의 형편에 영향을 받아 이루어진 것으로 보여 진다.

 

君- 燕山君.光海君 反政으로 축출됨으로써 庶出(서출) 王者에게 쓰는

君으로 降等(강등)되었으며 實錄(실록) 또한 燕山君日記.

光海君日記로 철저한 차별을 받고 있다.

무릇 爲政者(위정자)는 歷史(역사)를 무서워 해야만 한다.

 

廟號(묘호)

祖와 宗,그리고 君이라는 것은 王이 죽고 나서

廟(묘)에 붙이는 일종의 廟號(묘호)다.

따라서 살아 生前에는 절대로 자기의 廟號(묘호)를 알 수 없다.

 

총 27名의 王을 順序(순서)대로 羅列(나열)하면,

太祖,定宗,太宗,世宗,文宗,端宗,世祖,睿宗,成宗,燕山君,

中宗,仁宗,明宗,宣祖,光海君.仁祖,孝宗,顯宗,肅宗,景宗,

英祖,正祖,純祖,憲宗,哲宗,高宗,純宗이다.

 

먼저 君은 일반적으로 暴君(폭군)으로만 알려져 있는데,

하지만 그 보단 反政(반정)에 의해 물러나 君으로 降等(강등)된 王도 있으며,

朝鮮時代(조선시대)에는 3명이 존재하는데,

魯山君(노산군:端宗),燕山君,光海君이다.

이중 魯山君은 後에 端宗(서종)으로 復位(복위)가 된다.

 

그러나 祖와 宗의 基準(기준)이 不明確(불명확)하고 模糊(모호)하며

당시 執權勢力(집권세력)들에 의해 政治的(정치적)으로 決定(결정)된듯 보여진다.

'知識倉庫(지식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六心과 五心  (0) 2015.08.27
養子(양자)제도  (0) 2015.08.11
  (0) 2015.08.02
歷代 大統領 .1~18代(역대 대통령)  (0) 2015.04.19
水有七德(수유칠덕)  (0) 2015.03.31
口是禍門(구시화문)  (0) 2015.03.17
生卽道(생즉도)  (0) 2014.12.09
비에 관한 우리말   (0) 2014.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