聖賢(성현)의 글

神枕法(신침법)-洪萬選(홍만선)

華谷.千里香 2013. 12. 11. 09:32

 

 

 

攝 生(섭 생)
神枕法(신침법)-洪萬選(홍만선)
신기한 베개를 만드는 방법.

 

五月五日七月七日(오월오일칠월칠일) : 5월 5일, 7월 1일에
取山林柏(취산림백) : 산중의 잣나무를 베어다
以爲枕(이위침) : 목침(木枕)을 만들되,
長一尺二寸高四寸(장일척이촌고사촌) : 길이는 1척 2촌,높이는 4촌으로 하며,
空其中(공기중) : 그 속에는
容一斗二升(용일두이승) : 1말 2되가 들어갈 수 있게 한다.


以柏心赤者爲蓋厚二分(이백심적자위개후이분) :
            그리고 잣나무의 붉은 속심으로 뚜껑을 만들되,두께는 2푼으로 한다.
蓋置之令密又可使開用也(개치지령비우가사개용야) :
          이는 대개 긴밀(緊密)하게 둘수 있고 또는 열어서 쓸수있게 하도록 한다.
鑽蓋上爲三行每行四十孔(찬개상위삼행매행사십공) :
                      그리고 뚜껑에다 세 줄로 한 줄에 40개의 구멍을 뚫어
凡百二十孔(범백이십공) : 모두 1백 20개가 되게 하며,
令容粟米大(령용속미대) : 좁쌀이 들어갈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한다.


用芎藭當歸白芷辛夷杜蘅白朮藁本木蘭蜀椒官桂乾薑防風人蔘
(용궁궁당귀백지신이두형백출고본목란촉초관계건강방풍인삼) :
그리고는 궁궁(芎藭).당귀(當歸).백지(白芷).신이(辛夷).두충(杜沖).백출(白朮)
 고본(藁本).목란(木蘭).촉초(蜀椒).관계(官桂).건강(乾薑).방풍(防風).인삼

 

桔莄白薇荊實飛廉柏實白伏苓秦椒蘼蕪肉蓯蓉薏苡仁款冬花凡二十四物
(길경백미형실비렴백실백복령진초미무육종용의이인관동화범이십사물) :
                    길경(桔莄).백미(白薇).형실(荊實).비렴(飛廉).백실(柏實).
                    백복령(白茯苓).진초(秦椒).미무(蘼蕪).육종용(肉蓯蓉).

                    의이인(薏苡仁).관동화(款冬花)등 24가지를 사용하여.

 

以應二十四氣(이응이십사기) : 24절기에 응하게 하고,
加烏頭附子藜蘆皁莢甘草礬石半夏細辛(가오두부자여로조협감초반석반하세신): 
             거기에다 오두(烏頭),부자(附子).여로(藜蘆).조협(皂莢).감초.반석(礬石)
             반하(半夏).세신(細辛)등 여덟 가지를 더하여
凡八物以應八風(범팔물이응팔풍) : 8방(方)의 바람에 응하게 한다.


右三十二物各一兩(우삼십이물각일량) : 이상의 32가지를 각각 한 냥씩을
皆刺以八藥上安之(개자이팔약상안지) :
                잘게 썰어서 여덟 가지 약은 밑에 놓고 나머지 약은 위에 놓이도록
蒲枕中用布囊以衣枕(포침중용포낭이의침) : 
                목침 속에 가득 채우고 베로 주머니를 만들어 목침에 입히고,
復以韋囊重包之(복이위낭중포지) :

               다시 가죽으로 주머니를 만들어 이중으로 싸 두었다가
臨臥時脫去之(임와시탈거지) : 잠자리에 들 때는 가죽주머니는 벗겨 버린다.
蓋防藥氣之外泄也(개방약기지외설야) :
               이는 대개 약 기운이 외부로 새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枕之百日面有光澤(침지백일면유광택) :

                이를 1백 일을 베고 자면 얼굴에 광택이 나고,
一年諸病皆愈滿身盡香(일년제병개유만신진향) :
                1년이 되면 모든 병이 다 낫고 온몸에는 향기가 가득하며,
四年白髮變黑落齒更生(사년백발변흑낙치갱생) :
              4년이 되면 흰 머리가 다시 검어지고 빠졌던 이가 다시 나며,
耳目聰明東方朔曰(이목총명동방삭왈) :
                이목(耳目)이 총명해진다. 라고 동방삭(東方朔)은 말하였다.


昔女廉以此方傳玉靑(석여렴이차방전옥청) :
             “옛날 여렴(女廉)은 이 방법을 옥청(玉靑)에게 전했고,
玉靑傳廣成子云(옥청전광성자운) :

             옥청은 광성자(廣成子)에게 전했다.”(甲乙本有)


   -終(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