炭女發汗[탄녀발한]
숫처녀가 땀을 내주다. 炭女[탄녀]:숫처녀의 이두식 표현
古有一鄕族士人[고유일향족사인]
옛날에 한 시골 집안의 선비가 있었는데
爲人庸暗而家稍饒[위인용암이가초요] 庸[용]:어리석을 용, 稍[초]:적을 초
사람 됨됨이는 어리석고 사리에 어두웠으나 집안은 조금 넉넉하였다.
其父生員頗好色[기부생원파호색]
그 아버지인 생원은 자못 색을 좋아하였다.
生員室內有一童婢而 年十七[생원실내유일동비이 년십칠]
생원의 집안에는 한 여종 아이가 있었는데, 나이는 열일곱이었으며
自幼生長於室內 未嘗出外[자유생장어실내 미상출외]
어려서부터 집안에서만 생장하고 일찍이 밖에 나간 적이 없어서
無異閨女 面貌絶美[무이규녀 면모절미]
규규중의 처녀와 다름이 없었으며, 얼굴과 모양이 뛰어나게 아름다운지라
生員欲狎之 暫不移室內左右[생원욕압지 잠불이실내좌우]
생원이 그녀를 친압하고자 했으나,
그녀는 잠시도 집안의 좌우를 떠나지 않았다.
心生一計 一日對隣里切親醫朴姓人 說此事
[심생일계 일일대린리절친의박성인 설차사]
생원이 마음에 한 꾀를 내어 하루는
이웃 동네의 절친한 의원인 박씨에게 이 일을 말하길
託以吾當佯病[탁이오당양병]
내가 마땅히 거짓 병으로 핑계하겠으니,
君必如此如此爲言則[군필여차여차위언즉]
자네는 반드시 이러이러하게 말을 하면
當有好個道理 醫人許諾[당유호개도리 의인허락]
마땅히 좋은 방도가 있을 걸세 하니, 의원이 그러겠다고 허락하자
數日後生員自夜 忽作大痛之狀[수일후생원자야 홀작대통지상]
며칠 뒤 생원이 밤중부터 별안간 크게 아픈 형상을 지으니
早朝家人告于士人曰[조조가인고우사인왈]
이른 아침에 집안 하인이 선비에게 와서 말하기를
老爺病患猝重[노야병환졸중]
늙으신네께서 병환이 갑자기 중하십니다.하는지라
士人驚憂 卽問候則 生員曰[사인경우 즉문후즉 생원왈]
선비가 놀라고 근심스러워서 곧 문후를 드리니 생원이 말하기를
渾身俱痛 寒氣最苦 云而[혼신구통 한기최고 운이]
온몸이 다 아프고 한기가 가장 괴롭다.라고 하면서
呻吟之聲 不絶於口 昏迷若危[신음지성 불절어구 혼미약위]
신음소리가 입에서 끊이지 않고, 정신이 혼미함이 위태로운 것 같아
士人大憂 卽請朴醫診脈[사인대우 즉청박의언맥]
선비가 크게 근심하여, 곧 박의원을 청하여 진맥케 하였지요.
朴醫診察而出外[박의진찰이출외]
박의원이 진찰하고서 밖으로 나가는지라
士人隨出問之則 醫人曰[사인수출문지즉 의인왈]
선비가 따라 나가서 그에게 병세를 물었더니, 의원이 말하기를
數日前來拜時 未見有不安之節[수일전래배시 미견유불안지절]
며칠 전에 와서 인사를 드릴 때는 편찮으신 기색이 있음을 보지 못했는데
何期患候之猝重如此[하기우후지졸중여하].
어찌 환후의 갑작스럽게 위중함이 이와 같을 줄 미리 알았겠소.
老人之脈度如彼 愚見實無可用之藥[노인지맥도여파 우견실무가용지약].
노인의 맥도가 저와 같으니, 내 생각으로는 실로 쓸 수 있는 약이 없소.
更求名醫而 議進當劑 似好矣[갱구명의이 의진당제 사호의].
다시 이름난 의원을 구하여,
의논하여 마땅한 약을 지어 올리는 것이 좋을 것 같소" 하니
士人十分驚惶[사인십분경황]
선비가 매우 놀라고 당황하여,
執手懇請曰[집수간청왈]
의원의 손을 잡고 간청하여 말하기를
他醫不勝於君 且君熟知家親氣品與脈度則
[타의불승어군 차군숙지가친기품여맥도즉]
다른 의원은 그대보다 낫지 못하며
또 그대는 가친의 기품과 맥도를 익히 잘 아시는 즉
何不深思良方而 遽然退出乎[하불심사량방이 거연퇴출호] ?
어찌 좋은 처방을 깊이 생각하지 않고, 급히 물러나가시려 하오?하니
醫人深思半餉 乃曰[의인심사반향 내왈]
의원이 한참 동안 깊이 생각하다, 이내 말하기를
百藥無可合 只有一方而[백약무가합 지유일방의]
백 가지 약이 모두 합당하지 않고,다만 한 가지 방법이 있기는 하나
此則得用困難 若誤用則 有害故 此爲可悶矣
[차즉득용곤란 약오용즉 유해고 차위가민의].
이는 사용하기가 곤란하며, 만약 그릇 사용하면 해가 있으므로,
이는 가히 걱정이 되오." 하는지라.
士人曰[사인왈]
선비가 말하기를
雖極難 吾當盡力得用 第言之[수극난 오당진력득용 제언지].
第[제]: 상관없이, 오로지,
비록 극히 어려워도 내가 마땅히 힘을 다하여 얻어 사용할 것이니,
오로지 그것을 말하시오.하니
醫人曰[의인왈]
의원이 말하기를
病患專因寒氣結於胸腹[병환전인한기결어흉복]
부친의 병환은 오로지 한기가 가슴과 배에 결집됨으로 인한 것이니
若得十六七歲未經人炭女 溫房中[약득십칠세미경인탄녀 온방중]
만약 열 여닐곱 살로 남자를 겪지 않은 숫처녀를 얻어 따뜻한 방안에서
以屛防風 接胸抱臥發汗則卽快[이병방풍 접흉포와발한즉즉쾌]
병풍으로 바람을 막고 가슴을 대고 껴안아 누워 땀을 내게 한 즉,
곧 병한이 나을 것이요 !
外無他藥而[외무타약이]
그 외에는 다른 약이 없으며
第念十六七歲女子常賤則[제념십육칠세여자상천즉]
다만 생각컨대 열 여닐곱 살 여자로서 상놈의 천한 딸은
經人否未能詳知[경인부미능상지]
사람을 겪었는지의 여부를 자세히 알 수가 없으며
閭閻女子 雖一時藥用[여염여자 수일시약용]
여염 집의 딸은 비록 한 때의 약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도
誰肯納之 此所謂極難也[수긍납지 차소위극난야]"
누가 즐겨 그 딸을 들이겠소.이는 이른바 지극히 어렵습니다.하니
此時士人母 適在窓下 聞醫言[차시사인모 적재창하 문으언]
이때 선비의 어머니가 마침 창문 아래에 있다가 의원의 말을 듣고서는
急召士人謂之曰[급초사인위지왈]
급히 선비를 불러 그에게 일러 말하기를
我聞醫言 此藥不難矣[아문의언 차약불난의]
내가 의원의 말을 들었는데 이 약은 얻기가 어렵지 않느니라.하니
士人曰 何以得之[사인왈 하이득지]
선비가 말하기를 "어떻게 하면 그것을 얻을 수 있습니까?" 함에
母曰[모왈]
어머니가 말하기를
某婢自幼養育吾之衾內 至今未出門外
[모비자유양육오지금내 지금미출문외]
아무개 여종이 어려서부터 나의 이불 안에서 길러서
이제까지 문 밖을 나가지 않아
此則無異於兩班處女 年今十七 若求炭女
[차즉무이어양반처녀 년금십칠 약구탄녀]
이는 양반집 처녀에 다름이 없으며,
나이가 이제 열일곱이니, 만약 숫처녀를 구한다면
此婢無慮一時藥用 豈不好耶[차비무려일시약용 기불호야]
이 여종이 한때의 약으로 쓰는 데도 아무 염려할 것이 없으니,
어찌 좋지 않겠느냐." 하네요 !
士人大喜曰[사인대희왈]
선비가 크게 기뻐하며 말하기를
果如敎意[과여교의]
과연 가르치시는 뜻과 같이 하겠습니다.하고
卽以醫人之言 其母之意 告于其父[즉이의인지언 기모지의 고어기부]
곧 의원의 말과 그 어머니의 뜻을 그 아버지에게 고하니
生員曰[생원왈]
생원이 말하기를
世上豈有如許藥物乎[세상기유여허약물호]?
세상에 어찌 그 따위 약물이 있단 말이냐?
然而朴君之言如此 第爲試之 何妨耶[연이박군지언여차 제위시지 하방야]
그러나 박군의 말이 이와 같다면,
다만 시험해 보는 것을 어찌 거리끼겠느냐.하는지라
其夜以屛風防于溫房 以其童婢解衣裳 入于衾內
[기야이병풍방우온방 이기동비해의상 입우금내]
그 밤에 병풍으로 따듯한 방을 막고
그 어린 종을 옷과 치마를 벗겨 이불 속으로 들게 하고는
士人出門外 其母亦立窓外 欲察其發汗[사인출문외 기모역립창외 욕찰기발한]
선비가 문 밖으로 나오니 그 어머니가 또한 창 밖에 서서
그 땀내는 것을 살피고자 하는데
俄而生員與其婢 雲雨極淫[아이생원여기비 운우극음]
조금 있다가 생원이 그 여종과 더불어 교정이 극히 음란하거늘
其母喞喞回入內曰[기모즉즉향입내왈]
그 어머니가 중얼 중얼대며 내실로 들어가며 말하기를
此是接胸發汗之藥耶[차시접흉발한지약야]?
이것이 가슴을 대고 땀을 내는 약이란 말이냐?
如是發汗 何不與我發汗[여시발한 하불여아발한]?
이와 같이 땀을 낸다면, 어찌 나와 더불어 땀을 내지 않는고 ?하는지라
士人隨後睨視止之曰[사인수후예시지지왈]
선비가 그 어머니 뒤를 따라가며 눈을 흘겨보면서
어머니의 말을 막으며 말하기를
母親何出迷劣之言乎[모친하출미열지언호]?
모친은 어찌 사리에 어긋나는 모자란 말을 하십니까?
母親炭女耶[모친탄녀야]?
모친이 숫처녀에요?" 하니
聞者絶倒[문자절도]
이 말을 들은 사람이 포복절도 하더라.
'古今笑叢(고금소총)' 카테고리의 다른 글
詐痛要歡(사통요환) -아프다고 속여 즐거움을 바라다. (0) | 2015.04.23 |
---|---|
父女相誑(부녀상광) :부녀가 서로 속이다. (0) | 2015.04.17 |
郎復得穴(낭부득혈)-신랑,제대로 구멍을 찾았도다. (0) | 2014.05.19 |
一士一奴(일사일노)-그 주인에 그머슴 (0) | 2014.05.11 |
消骨客(소골객)- 뼈를 녹여주는 나그네. (0) | 2013.05.10 |
昨夜婦人治病(작야부인치병):어젯밤에 마님께서..... (0) | 2013.01.11 |
囚陽之獄(수양지옥)-양물(陽物)을 가두는 감옥 (0) | 2012.11.07 |
厥書何在(궐서하재).-그 글은 어느 책에... (0) | 2012.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