陰虛火動(음허화동)
정(精)이 고갈(固渴)되면 만병을 부른다
음허화동(陰虛火動)이란 무슨 의미인가?
음(陰)이란 피와 호르몬을 비롯하여 내부 장기에서 생성되는
여러가지 분비물을 말한다.
예를 들면 혈액과 남자의 정액, 여자의 음액, 뼈 속의 골수등
여러가지 각종 영양소 그리고 침과 눈물, 내분비호르몬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러한 음(陰)이 일시적으로 부족하여 인체에서 병리적인 현상으로
화(火)가 생기는 증상을 음허화동(陰虛火動)이라 한다.
이렇게 음허화동이 생기면 기침이나 가래 또는 각혈증으로 기(氣)가
쇠약해지며 폐결핵이나 폐위증(기관지확장증)등이 발병할 가능성이 많다
음(陰)이 부족해서 화(火)를 잡아주지 못하면
위로 화가 올라가서 성(Sex)에 대한 생각도 자주 나게 되는 것이다.
몸 안에 음이 부족하면 마치 마른 나뭇가지에 불이 활활 타듯이
몸이 쇠약해지면서 덩달아 여러가지 질환들이 발생한다.
음허화동이 더 심각해져 정신적인 문제까지 발생하는 것을
한의학에서는 水火不交(수화불교)라고 한다.
음허화동(陰虛火動)으로 인해 나타나는 주요증상
1. 체력이 급속히 떨어져 맥을 못 춘다.
2.가슴에 불이 있는 것처럼 답답해 진다.
3. 신체의 일시적인 열오름 현상이 생겼다가 갑자기 추워져 옷을 껴 입는다.
4. 기억력이 감퇴되고 이유 없이 신경질을 자주 낸다.
5. 잠을 잘 때 식은 땀을 많이 흘리며 자주 깬다.
6. 사타구니에 땀이 나며 허리와 아랫배에 은은한 통증이 있다.
7.호흡기가 약한사람은 ..모든 폐질환이나 감기나 기침
혹은 폐결핵이나 기관지확장으로 인한 각혈이 올수있다
심신불교(心腎不交)로 인해 나타나는 주요증상
1. 기억력이 심하게 감퇴되며 집중력, 사고력이 현저히 떨어진다.
2. 암기력이 떨어지며 멍한 상태가 되풀이 된다.
3. 우울증이 심해져 울거나 화를 내는 경우가 많다.
4.신경이 예민해지며 불면증이 올수있다
치료
▶ 음식으로는 소뼈인 사골이 좋다.
사골을 고아 기름기는 걷어내고 맑은 국물을 자주 마신다.
이는 뼈에 있는 골수 성분을 섭취하기 위함이다.
소의 뇌하수체(골밑샘)를 구입해서 조리해서 먹는 것도 좋다.
소의 간을 살짝 데쳐서 먹는 것도 좋다.
일반적으로 채소나 과일만으로는 인체의 음을 보충시키기에 부족하다.
식물성이 아닌 동물성 음식을 써서 급히 음을 보충시키는 방법을 써야 한다.
▶ 약재로는 작약, 숙지황, 지모, 황백 같은 것이 있다
(이런 약재가 일부 가미된 것으로 쌍화탕이나 육미지황탕이 있다).
음허화동증에는
음을 보충시키는 한약을 빨리 먹어야 한다. 그렇지 않고 수화불교증까지
간다면 치료기간이 장기화되고 정신적인 문제까지 유발할 수 있다.
정(精)이 한번 파괴되거나 소모되면 이를 회복하는데
최소 6개월 이상 잡아야 한다.
그외 대표적인 약재로 경옥고를 들 수 있다.
경옥고를 고약으로 만드는 이유는 호르몬을 생성시키는
기능이 강화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신경성 무력증이나 음이 부족한 증상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
환약으로는 음양쌍보단을 쓴다. 물약과 환약을 쓰는 차이는
환약이 인체에 오랫동안 남아 있으면서 그 효력을 계속 발휘한다는 것이다.
▶ 쉽게 따라할 수 있는 기공법 한가지를 소개한다.
되도록 아침이나 이른 점심 시간에 태양을 마주하고 선다.
그리고 두 손으로 원을 그리면서 2∼3분간 주먹을 쥐었다 폈다를 지속한다.
그런 다음 손바닥을 태양을 향해 뻗은 상태로 가만히 있는다.
이는 태양의 좋은 에너지를 손바닥을 통해 몸 안으로 받아
생체 에너지를 활성화 시키기 위한 방법이다.
'健康(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養生七訣(양생칠결). (0) | 2016.01.05 |
---|---|
물과 소변과 健康 관계 (0) | 2016.01.03 |
感氣 豫防(감기예방) (0) | 2015.12.28 |
戒飮酒論(계음주론) (0) | 2015.11.03 |
戒煙草論(계연초론) (0) | 2015.10.25 |
水昇火降(수승화강) (0) | 2015.10.09 |
治身要諦(치신요체:건강비법) (0) | 2015.08.07 |
名醫 扁鵲(명의편작) (0) | 2015.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