千字文外(천자문외)終

韓國史 千字文 -한정주 저

華谷.千里香 2019. 5. 31. 21:19




韓國史 千字文 -한정주 저

01 桓雄降壇 檀君弘益 환웅강단 단군홍익

환웅이 신단수(神壇樹)에 내려오니, 단군은 널리 인간을 이롭게 했다.

桓(굳셀 환) 雄(수컷 웅) 降(내릴 강) 壇(단 단)

檀(박달나무 단) 君(임금 군) 弘(클 홍) 益(더할 익)


02 扶嘉魯奚 屹余索那 부가노해 흘여색나

부루·가륵·노을·도해 단군이요, 흘달·여을·색불루·솔나 단군이다.

扶(도울 부) 嘉(아름다울 가) 魯(노나라 노) 奚(어찌 해)

屹(산우뚝솟을 흘) 余(나 여) 索(찾을 색) 那(어찌 나)


03 八個禁法 訓要十條 팔개금법 훈요십조

고조선은 여덟 가지의 금법(禁法)을 시행했고,

고려 태조는 10가지의 중요한 가르침을 남겼다.

八(여덟 팔) 個(낱 개) 禁(금할 금) 法(법 법)

訓(가르칠 훈) 要(요긴할 요) 十(열 십) 條(가지 조)


04 夫餘殉葬 沃沮骨槨 부여순장 옥저골곽

부여는 순장(殉葬)을 지냈고, 옥저는 골장(骨葬)을 지냈다.

夫(지아비 부) 餘(남을 여) 殉(따라 죽을 순) 葬(장사 지낼 장)

沃(기름질 옥) 沮(막을 저) 骨(뼈 골) 槨(외관 곽)


05 祭儀迎盟 濊舞季節 제의영맹 예무계절

제천의식에는 부여의 영고와 고구려의 동맹, 동예의 무천과 삼한의 계절제가 있다.

祭(제사 제) 儀(거동 의) 迎(맞을 영) 盟(맹세 맹)

濊(종족 이름 예) 舞(춤출 무) 季(계절 계) 節(마디 절)


06 卵生神話 朱首赫脫 난생신화 주수혁탈

알에서 태어난 신화에는, 고구려의 고주몽·가야의 수로왕·신라의 박혁거세와

석탈해가 있다.

卵(알 란) 生(날 생) 神(귀신 신) 話(말씀 화)

朱(붉을 주) 首(머리 수) 赫(빛날 혁) 脱(벗을 탈)


07 桂婁百族 沙梁習比 계루백족 사량습비

고구려의 계루부와 백제의 8족, 신라의 사량부와 습비부이다.

桂(계수나무 계) 婁(골 루) 百(일백 백) 族(겨레 족)

沙(모래 사) 梁(들보 량) 習(익힐 습) 比(견줄 비)


08 諸加政事 和白會議 제가정사 화백회의

고구려와 백제에는 제가 회의와 정사암 회의, 신라에는 화백 회의가 있었다.

諸(모두 제) 加(더할 가) 政(정사 정) 事(일 사)

和(화활 화) 白(흰 백) 會(모일 회) 議(의논할 의)


09 居次尼師 祗名麻干 거차이사 지명마간

신라의 임금은 거서간·차차웅·이사금으로 부르다가,

눌지왕부터 마립간이라고 불렀다.

居(살 거) 次(버금 차) 尼(여승 니) 師(스승 사)

祗(공경할 지) 名(이름 명) 麻(삼 마) 干(방패 간)


10 謨斷寬猛 小獸布律 모단관맹 소수포율

고국천왕은 단호하고 너그럽고 용맹했고, 소수림왕은 율령을 반포했다.

謨(꾀 모) 斷(끊을 단) 寬(너그러울 관) 猛(사나울 맹)

小(작을 소) 獸(짐승 수) 布(펼 포) 律(법칙 률)


11 近肖卓識 襛移泗沘 근초탁식 농이사비

근초고왕은 식견이 뛰어났고, 성왕은 사비성으로 옮겼다.

近(가까울 근) 肖(닮을 초) 卓(높을 탁) 識(알 식)

襛(두툼할 농) 移(옮길 이) 泗(물 이름 사) 沘(강 이름 비)


12 人咸服炤 興厚慈悲 인함복소 흥후자비

사람들은 모두 소지마립간을 따랐고, 법흥왕은 후덕하고 자비로웠다.

人(사람 인) 咸(다 함) 服(옷 복) 炤(밝을 소)

興(일어날 흥) 厚(두터울 후) 慈(사랑 자) 悲(슬플 비)


13 駕露貌偉 動止質儉 가로모위 동지질검

가락국의 수로왕은 생김새가 빼어났으나, 행동거지는 질박하고 검소했다.

駕(멍에 가) 露(이슬 로) 貌(모양 모) 偉(클 위)

動(움직일 동) 止(그칠 지) 質(바탕 질) 儉(검소할 검)


14 登品叱尸 坐吹銍仇 등품질시 좌취질구

거등왕·마품왕·거질미왕·이시품왕과, 좌지왕·취희왕·질지왕·

구형왕이다.(가야국왕)

登(오를 등) 品(물건 품) 叱(꾸짖을 질) 尸(주검 시)

坐(앉을 좌) 吹(불 취) 銍(낫 질) 仇(원수 구)


15 苔斯多含 倂呑伽倻 태사다함 병탄가야

이사부와 사다함이, 가야를 정복해 신라의 영토로 만들었다.

苔(이끼 태) 斯(이 사) 多(많을 다) 含(머금을 함)

併(아우를 병) 呑(삼킬 탄) 伽(절 가) 倻(가야 야)


16 后必念悟 痤吾路側 후필염오 좌오로측

김후직은 반드시 임금을 깨우칠 것을 생각하여, 자신을 길 옆에 묻었다.

后(임금 후) 必(반드시 필) 念(생각 념) 悟(깨달을 오)

痤(부스럼 좌) 吾(나 오) 路(길 로) 側(곁 측)


17 黃龍鳳凰 麒麟虎雀 황룡봉황 기린호작

황룡과 봉황이요, 기린과 백호 그리고 주작이다.

黃(누를 황) 龍(용 룡) 鳳(봉새 봉) 凰(봉황 황)

麒(기린 기) 麟(기린 린) 虎(범 호) 雀(참새 작)


18 太學花郞 國子成館 태학화랑 국자성관

고구려의 태학과 신라의 화랑, 고려의 국자감과 성균관이다.

太(클 태) 學(배울 학) 花(꽃 화) 郞(사내 랑)

國(나라 국) 子(아들 자) 成(이룰 성) 館(집 관)


19 踊狩雙楹 壁畵特美 용수쌍영 벽화특미

무용총의 수렵도와 쌍영총의 벽화는 특별히 아름답다.

踊(뛸 용) 狩(사냥할 수) 雙(두 쌍) 楹(기둥 영)

壁(벽 벽) 畵(그림 화) 特(특별할 특) 美(아름다울 미)


20 樂于彈絃 山岳玄琴 악우탄현 산악현금  

악성 우륵의 가야금이요, 왕산악의 거문고이다.

樂(노래 악) 于(어조사 우) 彈(튀길 탄) 絃(줄 현)

山(메 산) 岳(큰 산 악) 玄(검을 현) 琴(거문고 금)


21 巴素賑貸 恤衆艱苦 파소진대 휼중간고

을파소의 진대법은, 백성들의 괴로움과 고통을 구휼했다.

巴(꼬리 파) 素(본디 소) 賑(구휼할 진) 貸(빌릴 대)

恤(불쌍할 휼) 衆(무리 중) 艱(어려울 간) 苦(쓸 고)


22 大陸談德 海上保皐 대륙담덕 해상보고

대륙의 광개토대왕이요, 해상의 장보고이다.

大(큰 대) 陸(뭍 륙) 談(말씀 담) 德(덕 덕)

海(바다 해) 上(윗 상) 保(지킬 보) 皐(언덕 고)


23 長壽石碑 麥巡拓境 장수석비 맥순척경

장수왕의 중원고구려비요, 진흥왕의 순수척경비이다.

長(길 장) 壽(목숨 수) 石(돌 석) 碑(비석 비)

麥(보리 맥) 巡(돌아볼 순) 拓(넓힐 척) 境(지경 경)


24 乙支黜隋 萬春破唐 을지출수 만춘파당

을지문덕은 수나라를 물리치고, 양만춘은 당나라를 깨뜨렸다.

乙(새 을) 支(지탱할 지) 黜(내칠 출) 隋(수나라 수)

萬(일만 만) 春(봄 춘) 破(깨뜨릴 파) 唐(당나라 당)


25 寧隆農本 證初牛耕 영륭농본 증초우경

백제 무령왕 융(隆)은 농업을 나라의 근본으로 삼았고, 신라 지증왕은

최초로 소를 이용해 농사를 지었다.

寧(편안할 녕) 隆(높을 륭) 農(농사 농) 本(근본 본)

證(증거 증) 初(처음 초) 牛(소 우) 耕(밭갈 경)


26 璋溫軒丈 善岡賢妻 장온헌장 선강현처

무왕과 온달은 늠름한 대장부이고, 선화공주와 평강공주는 현명한 아내이다.

璋(홀 장) 溫(따뜻할 온) 軒(집 헌) 丈(어른 장)

善(착할 선) 岡(산등성이 강) 賢(어질 현) 妻(아내 처)


27 邑薯志謠 旨兜妹耆 읍서지요 지도매기

정읍사·서동요·풍요(양지사석가)와, 구지가·도솔가·제망매가·찬기파랑가이다.

邑(고을 읍) 薯(감자 서) 志(뜻 지) 謡(노래 요)

旨(맛있을 지) 兜(투구 도) 妹(누이 매) 耆(늙은이 기)


28 由拔刀刺 階當奮勵 유발도자 계당분려

유유는 칼을 뽑아 찔렀고, 계백은 마땅히 힘써 용기를 다했다

由(말미암을 유) 拔(뽑을 발) 刀(칼 도) 刺(찌를 자)

階(섬돌 계) 當(마땅 당) 奮(떨칠 분) 勵(힘쓸 려)


29 琛受黑齒 劍牟岑舜 침수흑치 검모잠순

도침·지수신·흑치상지요, 검모잠과 안순(안승)이다.(백제,고구려 부활 꿈)

琛(보배 침) 受(받을 수) 黑(검을 흑) 齒(이 치)

劍(칼 검) 牟(성 모) 岑(봉우리 잠) 舜(순임금 순)


30 曼聖女主 九塔讓位 만성여주 구탑양위

선덕여왕은 황룡사 9층탑을 세웠고, 진성여왕은 임금의 자리를

어진 사람에게 물려주었다.

曼(길게 끌 만) 聖(성인 성) 女(계집 녀) 主(임금 주)

九(아홉 구) 塔(탑 탑) 讓(사양할 양) 位(자리 위)


31 賜帶尊像 恩寺息笛 사대존상 은사식적

천사옥대와 장륙존상이요, 감은사와 만파식적이다.

賜(줄 사) 帶(띠 대) 尊(높을 존) 像(모양 상)

恩(은혜 은) 寺(절 사) 息(쉴 식) 笛(피리 적)


32 祚榮弓裔 自稱後句 조영궁예 자칭후구

대조영과 궁예는, 스스로 고구려의 후계자라고 일컬었다.

祚(복 조) 榮(영화 영) 弓(활 궁) 裔(후손 예)

自(스스로 자) 稱(일컬을 칭) 後(뒤 후) 句(글귀 구)


33 藝欽秀代 渤擴疆域 예흠수대 발확강역

무왕(大武藝)과 문왕(大欽茂)과 선왕(大仁秀)시대에, 발해는 영토를 넓혔다.

藝(재주 예) 欽(공경할 흠) 秀(빼어날 수) 代(대신할 대)

渤(바다 이름 발) 擴(넓힐 확) 疆(지경 강) 域(지경 역)


34 慧超五竺 矩堂見聞 혜초오축 구당견문

혜초의 왕오천축국전과, 구당 유길준의 서유견문록이 있다.

慧(슬기로울 혜) 超(뛰어넘을 초) 五(다섯 오) 竺(나라 이름 축)

矩(모날 구) 堂(집 당) 見(볼 견) 聞(들을 문)


35 元曉華嚴 知訥曺溪 원효화엄 지눌조계

원효의 화엄사상과, 지눌의 조계종이다.

元(으뜸 원) 曉(새벽 효) 華(빛날 화) 嚴(엄할 엄)

知(알 지) 訥(말 더듬거릴 눌) 曹(무리 조) 溪(시내 계)


36 新羅俊才 致遠承祐 신라준재 치원승우

신라의 뛰어난 선비는, 최치원과 최승우이다.

新(새 신) 羅(벌릴 라) 俊(준걸 준) 才(재주 재)

致(이를 치) 遠(멀 원) 承(이을 승) 祐(도울 우)


37 敎去禪來 佛界激變 교거선래 불계격변

교종의 시대가 가고 선종의 시대가 오면서, 불교계는 격렬한 변화를 겪었다.

敎(가르칠 교) 去(갈 거) 禪(선 선) 來(올 래)

佛(부처 불) 界(지경 계) 激(격할 격) 變(변할 변)


38 王建甄萱 天下爭覇 왕건견훤 천하쟁패

고려의 왕건과 후백제의 견훤이, 천하의 권력을 차지하기 위해 싸웠다.

王(임금 왕) 建(세울 건) 甄(질그릇 견) 萱(원추리 훤)

天(하늘 천) 下(아래 하) 爭(다툴 쟁) 覇(으뜸 패)


39 凝非屈危 功崇卜裵 응비굴위 공숭복배

최응은 굽히지 않으면 위태롭다고 했고, 공신은 신숭겸·복지겸·배현경이다.

凝(엉길 응) 非(아닐 비) 屈(굽힐 굴) 危(위태할 위)

功(공 공) 崇(높을 숭) 卜(점 복) 裵(성 배)


40 奴婢按檢 科擧施行 노비안검 과거시행

광종은 노비안검법과, 과거제도를 시행했다.

奴(종 노) 婢(계집종 비) 按(누를 안) 檢(검사할 검)

科(과목 과) 擧(들 거) 施(베풀 시) 行(다닐 행)

  

41 老奏時務 牧使派遣 노주시무 목사파견

최승로는 시무 28조를 아뢰어, 각 지방에 목사(牧使)를 파견토록 했다.

老(늙을 로) 奏(아뢸 주) 時(때 시) 務(힘쓸 무)

牧(칠 목) 使(하여금 사) 派(갈래 파) 遣(보낼 견)


42 徐熙復土 將瓘征眞 서희복토 장관정진

서희는 영토를 회복했고, 장군 윤관은 여진을 정벌했다.

徐(천천할 서) 熙(빛날 희) 復(회복할 복) 土(흙 토)

將(장수 장) 瓘(옥 관) 征(칠 정) 眞(참 진)


43 楊規七勝 邯贊州捷 양규칠승 감찬주첩

양규의 일곱 번의 승리와, 강감찬의 귀주대첩이다.

楊(버들 양) 規(법 규) 七(일곱 칠) 勝(이길 승)

邯(땅 이름 감) 贊(도울 찬) 州(고을 주) 捷(빠를 첩)


44 蠻狄侵略 柳韶築千 만적침략 류소축천

북방 오랑캐의 침략에, 류소(柳韶)가 천리장성을 쌓았다.

蠻(오랑캐 만) 狄(오랑캐 적) 侵(침노할 침) 略(간략할 략)

柳(버들 류) 韶(풍류 이름 소) 築(쌓을 축) 千(일천 천)



45 崔冲私塾 聯匡良貞 최충사숙 연광양정

최충이 사학(私學)을 세우자, 광헌공도·양신공도·정경공도 등이 잇달아 세워졌다.

崔(성 최) 冲(빌 충) 私(사사로울 사) 塾(글방 숙)

聯(연이을 련) 匡(바를 광) 良(어질 량) 貞(곧을 정)


46 肅抑貴權 別騎步僧 숙억귀권 별기보승

숙종은 귀족 권력을 억누르고, 기병·보병·승병의 별무반을 두었다.

肅(엄숙할 숙) 抑(누를 억) 貴(귀할 귀) 權(권세 권)

別(다를 별) 騎(말 탈 기) 步(걸음 보) 僧(중 승)


47 妙淸遷京 雷川鎭壓 묘청천경 뇌천진압

묘청이 서경 천도(西京遷都)를 주장하자, 뇌천 김부식이 진압했다.

妙(묘할 묘) 淸(맑을 청) 遷(옮길 천) 京(서울 경)

雷(우레 뢰) 川(내 천) 鎭(진압할 진) 壓(누를 압)


48 倭掠皆奔 漸守墓哭 왜략개분 점수묘곡

왜구의 침략에 모두 도망쳤으나, 문익점은 묘를 지키며 곡(哭)했다.

倭(왜나라 왜) 掠(노략질할 략) 皆(다 개) 奔(달릴 분)

漸(점점 점) 守(지킬 수) 墓(무덤 묘) 哭(울 곡)


49 仲升旼獻 繼瑀沆竩 중승민헌 계우항의

정중부·경대승·이의민·최충헌의 무신정권은, 최우·최항·최의로 이어졌다.

仲(버금 중) 升(되 승) 旼(화할 민) 獻(드릴 헌)

繼(이을 계) 瑀(패옥 우) 沆(넓을 항) 竩(옳을 의)


50 伊所孛延 蔚晋陜宜 이소패연 울진합의

망이·망소이와 패좌·이연년이요, 울산(초전)과 진주·합천·의주다.

伊(저 이) 所(바 소) 孛(어두울 패) 延(늘일 연)

蔚(고을 이름 울) 晋(진나라 진) 陜(땅 이름 합) 宜(마땅 의)


51 碧瀾渡港 膨脹繁盛 벽란도항 팽창번성

국제무역항구인 벽란도는, 급격하게 커져 번성을 누렸다.

碧(푸를 벽) 瀾(물결 란) 渡(건널 도) 港(항구 항)

膨(불을 팽) 脹(부을 창) 繁(번성할 번) 盛(성할 성)


52 印藏板刻 指心鑄字 인장판각 지심주자

해인사의 팔만대장경은 나무에 글자를 새겼고,

직지심체요절은 금속으로 활자를 만들어 찍어냈다.

印(도장 인) 藏(감출 장) 板(널 판) 刻(새길 각)

指(가리킬 지) 心(마음 심) 鑄(쇠 불릴 주) 字(글자 자)


53 鎔范香爐 障泥靑磁 용범향로 장니청자

용범과 향로요, 장니와 청자이다.

鎔(쇠녹일 용) 范(성 범) 香(향기 향) 爐(화로 로)

障(막을 장) 泥(진흙 니) 靑(푸를 청) 磁(자석 자)


54 積琫蜂起 問罪吏廷 적봉봉기 문죄리정

만적과 전봉준의 봉기는, 관리와 조정의 죄를 물은 것이다.

積(쌓을 적) 琫(칼집 장식 봉) 蜂(벌 봉) 起(일어날 기)

問(물을 문) 罪(허물 죄) 吏(벼슬아치 리) 廷(조정 정)


55 櫟翁疏案 旽置田辨 역옹소안 돈치전변

역옹 이제현은 개혁안을 올렸고, 신돈은 전민변정도감을 설치했다.

櫟(상수리나무 력) 翁(늙은이 옹) 疏(소통할 소) 案(책상 안)

旽(밝을 돈) 置(둘 치) 田(밭 전) 辨(분별할 변)

 

56 任推戴禑 旦廢瑤殺 임추대우 단폐요살

이인임은 우왕을 추대했고, 이성계는 공양왕을 폐위시키고 죽였다.

任(맡길 임) 推(밀 추) 戴(일 대) 禑(복 우)

旦(아침 단) 廢(폐할 폐) 瑶(아름다운 옥 요) 殺(죽일 살)


57 威化回軍 易姓革命 위화회군 역성혁명

위화도에서 군사를 돌려, 이씨(李氏) 왕조를 세우는 혁명을 일으켰다.

威(위엄 위) 化(될 화) 回(돌아올 회) 軍(군사 군)

易(바꿀 역) 姓(성 성) 革(가죽 혁) 命(목숨 명)


58 高麗三隱 朝鮮死六 고려삼은 조선사육

고려의 충신은 삼은(三隱)을 일컫고, 조선의 충신은 사육신(死六臣)을 꼽는다.

高(높을 고) 麗(고울 려) 三(석 삼) 隱(숨을 은)

朝(아침 조) 鮮(고울 선) 死(줄을 사) 六(여섯 육)


59 傳趙經典 統治憲令 전조경전 통치헌령

정도전의 조선경국전과 조준의 경제육전은, 나라를 다스리는 헌법과 법령이다.

傳(전할 전) 趙(나라 조) 經(지날 경) 典(법 전)

統(거느릴 통) 治(다스릴 치) 憲(법 헌) 令(하여금 령)


60 中央宮闕 左右廟稷 중앙궁궐 좌우묘직

중앙에는 임금이 거처하는 궁궐을, 오른쪽에는 종묘와 왼쪽에는 사직단을 짓는다.

中(가운데 중) 央(가운데 앙) 宮(집 궁) 闕(대궐 궐)

左(왼쪽 좌) 右(오른쪽 우) 廟(사당 묘) 稷(피 직)


61 都城四門 仁義禮智 도성사문 인의예지

도성의 4문(四門)은, 인(仁)·의(義)·예(禮)·지(智)로 이름을 붙였다.

都(도읍 도) 城(성 성) 四(넉 사) 門(문 문)

仁(어질 인) 義(의로울 의) 禮(예도 례) 智(슬기 지)


62 日月勤思 康泰慶資 일월근사 강태경자

일화문·월화문·근정전·사정전과, 강녕전·교태전·자경전·자선당이 있다.

日(날 일) 月(달 월) 勤(부지런할 근) 思(생각 사)

康(편안 강) 泰(편안할 태) 慶(경사 경) 資(재물 자)


63 戶兵刑工 玉署司諫 호병형공 옥서사간

호조·병조·형조·공조와, 홍문관·사헌부·사간원이다.

戶(집 호) 兵(병사 병) 形(형벌 형) 工(장인 공)

玉(구슬 옥) 署(마을 서) 司(맡을 사) 諫(간할 간)


64 飛御頌業 漁父誦冬 비어송업 어부송동

용비어천가는 업적을 기리고, 어부사시사는 겨울을 읊었다.

飛(날 비) 御(거느릴 어) 頌(기릴 송) 業(업 업)

漁(고기 잡을 어) 父(아비 부) 誦(욀 송) 冬(겨울 동)


65 堅夢遊圖 希顔謹涇 견몽유도 희안근경

안견의 몽유도원도요, 인재 강희안과 근재 최경이다.

堅(굳을 견) 夢(꿈 몽) 遊(놀 유) 圖(그림 도)

希(바랄 희) 顔(낯 안) 謹(삼갈 근) 涇(물이름 경)


66 懸珠仰釜 技術最精 현주앙부 기술최정

현주일구와 앙부일구는, 기술이 가장 정확했다.

懸(달 현) 珠(구슬 주) 仰(우러를 앙) 釜(가마 부)

技(재간 기) 術(재주 술) 最(가장 최) 精(자세할 정)


67 鄕藥類聚 韓方發展 향약유취 한방발전

향약집성방과 의방유취는, 한방(韓方) 의학을 발전시켰다.

鄕(시골 향) 藥(약 약) 類(무리 류) 聚(모을 취)

韓(나라 한) 方(모 방) 發(필 발) 展(펼 전)


68 坦堧浦孟 俔作軌範 탄연포맹 현작궤범

탄부 박연과 동포 맹사성이요, 성현은 악학궤범을 지었다.

坦(평탄할 탄) 堧(빈 터 연) 浦(물가 포) 孟(맏 맹)

俔(염탐할 현) 作(지을 작) 軌(바퀴자국 궤) 範(법 범)


69 樗蒲窺墻 浮洲赴宴 저포규장 부주부연

만복사저포기와 이생규장전이요, 남염부주지와 용궁부연록이다.

樗(가죽나무 저) 蒲(부들 포) 窺(엿볼 규) 墻(담 장)

浮(뜰 부) 洲(물가 주) 赴(다다를 부) 宴(잔치 연)


70 聰孤珦周 儒林配享 총고향주 유림배향

설총·최치원·안향·정몽주는, 유림(儒林)이 문묘에 모셨다.

聰(밝을 총) 孤(외로울 고) 珦(옥 이름 향) 周(두루 주)

儒(선비 유) 林(수풀 림) 配(나눌 배) 享(누릴 향)


71 戊午宏弼 己卯靜庵 무오굉필 기묘정암

무오년에는 사옹 김굉필이 유배되었고, 기묘년에는 정암 조광조가 처형당했다.

戊(천간 무) 午(낮 오) 宏(클 굉) 弼(도울 필)

己(몸 기) 卯(토끼 묘) 静(고요할 정) 庵(암자 암)


72 叔滋愼篤 潭敬不二 숙자신독 담경불이

김숙자는 신중하고 진실했으며, 화담 서경덕은 같은 잘못을 두 번 저지르지 않았다.

叔(아재비 숙) 滋(불을 자) 愼(삼갈 신) 篤(도타울 독)

潭(깊을 담) 敬(공경 경) 不(아닐 불) 二(두 이)


73 辟穀荒撮 飢餓對處 벽곡황촬 기아대처

구황벽곡방과 구황촬요는, 굶주림에 대처하는 방법에 관한 책이다.

辟(임금 벽) 穀(곡식 곡) 荒(거칠 황) 撮(모을 촬)

飢(주릴 기) 餓(주릴 아) 對(대할 대) 處(곳 처)


74 滉厓士逑 植宇萊忘 황애사구 식우래망

남인에는 이황, 유성룡, 김성일, 정구가 있고,

북인에는 조식, 김우옹, 정인홍, 곽재우가 있다.

滉(깊을 황) 厓(언덕 애) 士(선비 사) 逑(짝 구)

植(심을 식) 宇(집 우) 萊(명아주 래) 忘(잊을 망)


75 消遙童蒙 栗谷擊訣 소요동몽 율곡격결

소요당 박세무의 동몽선습이요, 율곡 이이의 격몽요결이다.

消(사라질 소) 遥(멀 요) 童(아이 동) 蒙(어두울 몽)

栗(밤나무 율) 谷(골 곡) 擊(칠 격) 訣(이별할 결)


76 福馨之交 信誠恭直 복형지교 신성공직

오성 이항복과 한음 이덕형의 사귐에는, 믿음과 성실함과 공손함과 곧음이 있었다.

福(복 복) 馨(꽃다울 형) 之(갈 지) 交(사귈 교)

信(믿을 신) 誠(정성 성) 恭(공손할 공) 直(곧을 직)


77 汝立公物 許筠硉島 여립공물 허균율도

정여립은 천하공물(天下公物)을 주장했고, 허균은 율도국(硉島國)을 꿈꾸었다.

汝(너 여) 立(설 립) 公(공평할 공) 物(물건 물)

許(허락할 허) 筠(대 균) 硉(떨어뜨릴 률) 島(섬 도)


78 申砬背水 忠武鶴翼 신립배수 충무학익

신립은 배수진을 쳤고, 충무공 이순신은 학익진을 펼쳤다.

申(납 신) 砬(돌 소리 립) 背(등 배) 水(물 수)

忠(충성 충) 武(무인 무) 鶴(학 학) 翼(날개 익)


79 鎰齡霽孚 休惟靈圭 일령제부 휴유영규

김천일·김덕령·고경명·정문부와, 휴정·유정·영규이다.

鎰(무게 이름 일) 齡(나이 령) 霽(갤 제) 孚(미쁠 부)

休(쉴 휴) 惟(생각할 유) 靈(신령 령) 圭(서옥 규)


80 壬辰懲毖 梅泉野錄 임진징비 매천야록

유성룡은 임진왜란을 징비록에 담았고, 황현은 매천야록을 썼다.

壬(북방 임) 辰(별 진) 懲(징계할 징) 毖(삼갈 비)

梅(매화 매) 泉(샘 천) 野(들 야) 錄(기록할 록)


81 松江歌辭 燕巖稗官 송강가사 연암패관

송강 정철의 가사문학과, 연암 박지원의 패관문학이 있다.

松(소나무 송) 江(강 강) 歌(노래 가) 辭(말씀 사)

燕(제비 연) 巖(바위 암) 稗(피 패) 官(벼슬 관)


82 豪宅班村 貧家木覓 호택반촌 빈가목멱

권세가의 호화주택은 반촌(班村)에 있고, 가난한 선비의 집은 목멱(木覓)에 있다.

豪(호걸 호) 宅(집 택) 班(나눌 반) 村(마을 촌)

貧(가난할 빈) 家(집 가) 木(나무 목) 覓(찾을 멱)


83 龜浚醫寶 每銓魚譜 구준의보 매전어보

구암 허준은 동의보감을, 매심재 정약전은 자산어보를 지었다.

龜(거북 구) 浚(깊을 준) 醫(의원 의) 寶(보배 보)

每(매양 매) 銓(저울질할 전) 魚(물고기 어) 譜(족보 보)


84 北進孝宗 南伐從茂 북진효종 남벌종무

효종은 북쪽 대륙으로 나아가고자 했고, 이종무는 남쪽 해상을 정벌했다.

北(북녘 북) 進(나아갈 진) 孝(효도 효) 宗(마루 종)

南(남녘 남) 伐(칠 벌) 從(좇을 종) 茂(무성할 무)


85 性理尤烈 陽明齊斗 성리우열 양명제두

성리학의 우암 송시열이요, 양명학의 하곡 정제두이다.

性(성품 성) 理(다스릴 리) 尤(더욱 우) 烈(매울 렬)

陽(볕 양) 明(밝을 명) 齊(가지런할 제) 斗(말 두)


86 再記宣顯 西黨改故 재기선현 서당개고

선조와 현종실록을 다시 쓴 것은, 서인(西人) 당파가 옛일을 고친 것이다.

再(다시 재) 記(기록할 기) 宣(베풀 선) 顯(나타날 현)

西(서녘 서) 黨(무리 당) 改(고칠 개) 故(옛일 고)


87 尹鑴獨解 貶斥亂賊 윤휴독해 폄척난적

윤휴가 주자학의 교리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해석을 하자, 유학을 어지럽힌

도적이라고 하여 벼슬을 깎아 내리고 내쫓았다.

尹(성 윤) 鑴(솥 휴) 獨(홀로 독) 解(풀 해)

貶(낮출 폄) 斥(물리칠 척) 亂(어지러울 란) 賊(도둑 적)


88 楚姬閨怨 允摯遺稿 초희규원 윤지유고

허난설헌의 규원가와, 임윤지당의 윤지당유고가 있다.

楚(초나라 초) 姬(계집 희) 閨(안방 규) 怨(원망할 원)

允(맏 윤) 摯(잡을 지) 遺(남길 유) 稿(볏짚 고)


89 抄啓文臣 辛亥通共 초계문신 신해통공

젊은 문신들을 국왕에게 보고하고, 신해년에는 상업의 자유를 허용했다.

抄(뽑을 초) 啓(열 계) 文(글월 문) 臣(신하 신)

辛(매울 신) 亥(돼지 해) 通(통할 통) 共(한 가지 공)


90 轆轤滑輪 蒼甕雉臺 녹로활륜 창옹치대 

녹로와 거중기의 활륜(滑輪 : 도르래)이요, 창룡문의 옹성과 치성·장대가 있다.

轆(도르래 녹) 轤(도르래 로) 滑(미끄러울 활) 輪(바퀴 륜)

蒼(푸를 창) 甕(독 옹) 雉(꿩 치) 臺(대 대)


91 勢道閥閱 安東豊壤 세도벌열 안동풍양

최고의 권력을 휘두른 양반 가문은, 안동 김씨와 풍양 조씨이다.

勢(형세 세) 道(길 도) 閥(문벌 벌) 閱(검열할 열)

安(편안 안) 東(동녘 동) 豊(풍성할 풍) 壤(땅 양)


92 出仕逸蔭 試驗兩職 출사일음 시험양직

벼슬길에는 유일(遺逸)과 문음(門蔭)이 있고, 과거시험에는 문반직(文班職)과

무반직(武班職)이 있다.

出(날 출) 仕(섬길 사) 逸(편안할 일) 蔭(그늘 음)

試(시험 시) 驗(시험 험) 兩(두 량) 職(직분 직)


93 彌勒濟世 鄭鑑救民 미륵제세 정감구민

미륵불은 세상을 구제하고, 정감록의 진인은 백성을 구원한다.

彌(미륵 미) 勒(굴레 륵) 濟(건널 제) 世(인간 세)

鄭(나라 정) 鑑(거울 감) 救(구원할 구) 民(백성 민)


94 紀編綱目 燃藜室述 기편강목 연려실술

기전체·편년체·강목체와, 이긍익의 연려실기술이 있다.

紀(벼리 기) 編(엮을 편) 綱(벼리 강) 目(눈 목)

燃(탈 연) 藜(명아주 려) 室(집 실) 述(펼 술)


95 數錫算夏 寃鏡奎兼 수석산하 원경규겸

수학의 최석정과 산학의 홍정하요, 무원록의 최치운·구택규·구윤명이다.

數(셈 수) 錫(주석 석) 算(셈 산) 夏(여름 하)

寃(원통할 원) 鏡(거울 경) 奎(별 규) 兼(겸할 겸)


96 謙齋敾景 蕙園風俗 겸재선경 혜원풍속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요, 혜원 신윤복의 풍속화이다.

謙(겸손할 겸) 齋(재계할 재) 敾(글 잘 쓸 선) 景(볕 경)

蕙(풀 이름 혜) 園(동산 원) 風(바람 풍) 俗(풍속 속)


97 譯貿蓄財 彦卞炫禎 역무축재 언변현정

역관무역으로 재산을 모으니, 홍순언·변승업·장현·현상정이다.

譯(번역할 역) 貿(바꿀 무) 蓄(모을 축) 財(재물 재)

彦(선비 언) 卞(성 변) 炫(밝을 현) 禎(상서로울 정)


98 巨商稼圃 甲富鑛昌 거상가포 갑부광창

큰 상인은 임상옥이요, 큰 부자는 금광왕 최창학이다.

巨(클 거) 商(장사 상) 稼(심을 가) 圃(채마밭 포)

甲(갑옷 갑) 富(부자 부) 鑛(쇳돌 광) 昌(창성할 창)


99 鐘閣市廛 梨牌樓賈 종각시전 이패누고 

종각의 시전이요, 이현·칠패·누원의 사상도고이다.

鐘(쇠북 종) 閣(집 각) 市(저자 시) 廛(가게 전)

梨(배나무 이) 牌(패 패) 樓(다락 루) 賈(장사 고)


100 源波內津 客兒褓負 원파내진 객아보부

덕원 원산장·봉산 은파장·안성 읍내장·은진 강경장이요,

객주와 중도아 그리고 보부상이다.

源(근원 원) 波(물결 파) 內(안 내) 津(나루 진)

客(손 객) 兒(아이 아) 褓(포대기 보) 負(질 부)


101 實始芝峰 與猶集全 실시지봉 여유집전

실학은 지봉 이수광에서 시작되어, 여유당 정약용이 전체 내용을 집대성했다.

實(열매 실) 始(비로소 시) 芝(지초 지) 峰(봉우리 봉)

與(더불어 여) 猶(오히려 유) 集(모을 집) 全(온전 전)


102 星瀷僿說 順鼎雜散 성익사설 순정잡산

성호 이익의 성호사설이요, 순암 안정복의 잡동산이다.

星(별 성) 瀷(강 이름 익) 僿(자질구레할 사) 說(말씀 설)

順(순할 순) 鼎(솥 정) 雜(섞일 잡) 散(흩어질 산)


103 限閭井論 勸奬貨費 한여정론 권장화비

한전론·여전론·정전제를 주장하고, 화폐를 권장하고 소비를 장려했다.

限(한정할 한) 閭(마을 려) 井(우물 정) 論(논할 론)

勸(권할 권) 奬(장려할 장) 貨(재물 화) 費(소모할 비)


104 柏得讀狂 眼徹紙面 백득독광 안철지면

백곡 김득신은 독서광으로, 눈빛이 종이를 꿰뚫을 정도로 책을 읽었다.

柏(나무 이름 백) 得(얻을 득) 讀(읽을 독) 狂(미칠 광)

眼(눈 안) 徹(통할 철) 紙(종이 지) 面(낯 면)


105 雅亭看痴 博覽勉强 아정간치 박람면강

아정 이덕무의 별칭은 간서치(看書痴)로, 널리 많은 책을 읽고 힘써 노력했다.

雅(우아할 아) 亭(정자 정) 看(볼 간) 痴(어리석을 치)

博(넓을 박) 覽(볼 람) 勉(힘쓸 면) 强(강할 강)


106 寅於未邱 乘寂罷睡 인어미구 승적파수

유몽인의 어우야담과 작자 미상의 청구야담이요, 대동야승과 파적·파수록이 있다.

寅(범 인) 於(어조사 어) 未(아닐 미) 邱(언덕 구)

乘(탈 승) 寂(고요할 적) 罷(마칠 파) 睡(졸음 수)


107 旣喪其馬 乃葺厥廐 기상기마 내즙궐구

이미 말을 잃고 나서야, 비로소 마구간을 고친다.

旣(이미 기) 喪(잃을 상) 其(그 기) 馬(말 마)

乃(이에 내) 葺(기울 즙) 厥(그 궐) 廐(마구 구)


108 重煥擇里 正浩輿地 중환택리 정호여지

이중환은 택리지를, 김정호는 대동여지도를 만들었다.

重(무거울 중) 煥(빛날 환) 擇(가릴 택) 里(마을 리)

正(바를 정) 浩(넓을 호) 輿(수레 여) 地(땅 지)


109 副用先角 策禹站著 부용선각 책우참저

부원수 김사용과 선봉장 홍총각이고, 책사 우군칙과 병참 이희저이다.

副(다음 부) 用(쓸 용) 先(먼저 선) 角(뿔 각)

策(꾀 책) 禹(성 우) 站(역마을 참) 著(나타날 저)


110 漢洛豆鴨 異拏剛頭 한낙두압 이라강두

한강·낙동강·두만강·압록강이요, 지리산·한라산·금강산·백두산이다.

漢(한수 한) 洛(강 이름 낙) 豆(콩 두) 鴨(오리 압)

異(다를 이) 拏(붙잡을 라) 剛(굳셀 강) 頭(머리 두)


111 雲金端銀 載鐵惠銅 운금단은 재철혜동

운산의 금과 단천의 은이요, 재령의 철과 혜산의 구리이다.

雲(구름 운) 金(쇠 금) 端(끝 단) 銀(은 은)

載(실을 재) 鐵(쇠 철) 惠(은혜 혜) 銅(구리 동)


112 匠阿棋洪 篆一冶啞 장아기홍 전일야아

장인 아비지와 바둑의 유찬홍이요, 전각의 오규일과 야장 신아이다.

匠(장인 장) 阿(언덕 아) 棋(바둑 기) 洪(넓을 홍)

篆(전자 전) 一(한 일) 冶(풀무 야) 啞(벙어리 아)


113 紋席漆器 鍮扇竹紵 문석칠기 유선죽저

강화 화문석과 통영 나전칠기요, 안성 유기·전주 합죽선·

담양 죽세공품·한산 모시이다.

紋(무늬 문) 席(자리 석) 漆(옻 칠) 器(그릇 기)

鍮(놋쇠 유) 扇(부채 선) 竹(대 죽) 紵(모시 저)


114 秋史書體 坡應墨蘭 추사서체 파응묵란

추사 김정희는 서체로, 석파 이하응은 묵란으로 이름을 날렸다.

秋(가을 추) 史(역사 사) 書(글 서) 體(몸 체)

坡(언덕 파) 應(응할 응) 墨(먹 묵) 蘭(난초 란)


115 均等相續 外孫奉祀 균등상속 외손봉사

재산 상속은 아들·딸 차별 없이 균등하게 분배했고, 외손자도 제사를 받들었다.

均(고를 균) 等(무리 등) 相(서로 상) 續(이을 속)

外(바깥 외) 孫(손자 손) 奉(받들 봉) 祀(제사 사)


116 衙船機廠 領紳報聘 아선기창 영신보빙

통리기무아문의 선함사와 기기창이요, 영선사·신사유람단·보빙사이다.

衙(마을 아) 船(배 선) 機(틀 기) 廠(공장 창)

領(거느릴 령) 紳(큰 띠 신) 報(갚을 보) 聘(부를 빙)


117 鎬炳閔箕 英古泳緯 호병민기 영고영위

민태호·김병시·민영익·조영하요, 홍영식·김옥균·박영효·서광범이다.

鎬(빛날 호) 炳(불꽃 병) 閔(성 민) 箕(키 기)

英(꽃부리 영) 古(예 고) 泳(헤엄칠 영) 緯(씨 위)


118 急伯純敍 穩以執洵 급백순서 온이집순

급진개화파의 김옥균·박영효·서광범이요, 온건개화파의 김홍집·

어윤중·김윤식이다.

急(급할 급) 伯(맏 백) 純(순수할 순) 敍(차례 서)

穩(편안할 온) 以(써 이) 執(잡을 집) 洵(참으로 순)


119 菊稙血淚 光洙無情 국직혈루 광수무정

국초 이인직은 혈의 누를, 춘원 이광수는 무정을 썼다.

菊(국화 국) 稙(올벼 직) 血(피 혈) 淚(눈물 루)

光(빛 광) 洙(물가 수) 無(없을 무) 情(뜻 정)


120 朴址澤完 在畯容柱 박지택완 재준용주

박제순·이지용·이근택·이완용과, 권중현·송병준·이용구·유학주이다.

朴(성 박) 址(터 지) 澤(못 택) 完(완전할 완)

在(있을 재) 畯(농부 준) 容(얼굴 용) 柱(기둥 주)


121 竣蔿殷蔡 輝佐丹枓 준위은채 휘좌단두

이인영(이준영)·허위·이은찬·채응언과, 이동휘·김좌진·신채호·김두봉이다.

竣(마칠 준) 蔿(애기풀 위) 殷(은나라 은) 蔡(성 채)

輝(빛날 휘) 佐(도울 좌) 丹(붉을 단) 枓(두공 두)


122 永淵姜卨 綴今裕鉉 영연강설 철금유현

박헌영·김태연(김단야)·강달영·권오설이요, 김철수·차금봉·이재유·이현상이다.

永(길 영) 淵(못 연) 姜(성 강) 卨(사람 이름 설)

綴(엮을 철) 今(이제 금) 裕(넉넉할 유) 鉉(솥귀고리 현)


123 幹友合力 皓熹珏鳴 간우합력 호희각명

신간회와 근우회가 힘을 합치니, 이상재·홍명희·유각경·정종명이다.

幹(줄기 간) 友(벗 우) 合(합할 합) 力(힘 력)

皓(밝을 호) 熹(빛날 희) 珏(쌍옥 각) 鳴(울 명)


124 臨府戰告 呂運同準 임부전고 여운동준

임시정부는 대일 선전포고를 하고, 여운형은 건국동맹과

건국준비위원회를 조직했다.

臨(임할 림) 府(마을 부) 戰(싸움 전) 告(고할 고)

呂(음률 여) 運(옮길 운) 同(한가지 동) 準(준할 준)


125 敦晩單選 橋凡反分 돈만단선 교범반분

돈암장의 이승만은 단독 선거를 주장했고, 경교장의 백범은 분단에 반대했다.

敦(도타울 돈) 晩(늦을 만) 單(홑 단) 選(가릴 선)

橋(다리 교) 凡(무릇 범) 反(돌이킬 반) 分(나눌 분)






'千字文外(천자문외)終' 카테고리의 다른 글

海東 千字文(해동 천자문)  (0) 2019.06.03
續千字文(속천자문)  (0) 2017.07.31
千字文(천자문)3.  (0) 2014.09.13
千字文(천자문)2.  (0) 2014.09.11
千字文(천자문)1.  (0) 2014.09.09
大東千字文(대동천자문) 2.   (0) 2012.06.22
大東千字文(대동천자문) 1.   (0) 2012.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