六悔銘(육회명)-寇萊公(구래공)
官行私曲 失時悔(관행사곡 실시회)
벼슬아치가 부정한 일을 행(行)하면 벼슬이 떨어질 때 뉘우치고,
富不儉用 貧時悔(부불검용 빈사회)
돈이 많을 때 절약하여 쓰지 않으면 가난할 때 뉘우치고,
藝不少學 過時悔(예불소학 과시회)
젊었을 때 재주를 배우지 않으면 시기가 지나서 뉘우치고,
見事不學 用時悔(견사불학 용시회)
일을 보고 배우지 않으면 필요(必要)할 때 뉘우치고,
醉後狂言 醒時悔(취후광언 성시회)
술 취한 뒤에 함부로 말하면 깨어났을 때 뉘우치고,
安不將息 病時悔(안불장식 병시회)
평안(平安)할 때 휴양(休養)하지 않으면 병(病)들었을 때 뉘우친다.
寇萊公(구래공).寇準(구준.961-1023)
북송 초의 정치가겸 시인.거란의 침입때 많은 공을 세워
萊國公(내국공)에 봉해저 寇萊公(구래공)이라 하였다.
구충민공 시집이 있다.
-明心寶鑑(存心篇)-
'聖賢(성현)의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6.道家治心治病術(도가치심치병술)-嘉語. 洪萬選(가어 홍만선) (0) | 2013.10.05 |
---|---|
5.保身軆(보신체)-嘉語.洪萬選(가어.홍만선) (0) | 2013.10.03 |
座右銘(좌우명)-安鼎福(안정복) (0) | 2013.09.25 |
修身(수신)-與猶堂全書(여유당전서) (0) | 2013.09.20 |
觚銘(고명)-與猶堂全書 (0) | 2013.09.16 |
勸 孝 詩(권효시)-王維(왕유) (0) | 2013.08.11 |
居家四本(거가사본) (0) | 2013.07.05 |
一世歌(일세가)-唐伯虎 (0) | 2013.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