牧隱 先祖 示 子孫詩(목은선조 시자손시)
形端影豈曲(형단영기곡)
형체가 바르면 그림자가 왜 굽으랴
源潔流斯淸(원결유사청)
근원이 맑아야 흐르는 물도 맑을 것이니라
修身可齊家(수신가제가)
몸을 닦아야 집을 다스릴수 있으며
無物由不誠(무물유불성)
무물은 불성한 데서 비롯 되느니라
荒淫喪本性(황음상본성)
거칠고 음란하면 본성을 상실하고
妄動傷元精(망동상원정)
망녕되게 행동하면 근본정기를 손상 시키느니라.
所以戒自斲(소이계자착)
제 몸을 깍고 손상시키는 행위는 삼가고 경계하는 까닭은
斲根木不榮(착근목불영)
뿌리를 끊으면 나무가 무성하게 자라지 못하는 것과 같으니라
寢席燕安地(침석연안지)
잠자리에서나 편안한 자리 일지라도
天命赫然明(천명혁연명)
천명은 혁연히 밝은 것이니
奈之何忽諸(내지하홀제)
어찌 모든것을 조금이라도 소홀히 할 수 있겠는가
吾信所由生(오신소유생)
내 몸은 부모로 부터 태어났는데
或褻而玩之(혹설이완지)
혹시라도 천륜을 우습게 여겨 아무렇게나 다루면
禽獸其性情(금수기성정)
그 성정이 금수와 다를게 없느리라.
嗟嗟我子孫(차차아자손)
아 나의 자손들은 이 글을 가까이 두고
眎此座右銘(시차좌우명)
좌우명으로 삼아 명심할 지니라.
'聖賢(성현)의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論氣稟(논기품)-崔漢綺(최한기) (0) | 2014.09.03 |
---|---|
誡子書(계자서)-諸葛亮(제갈량) (0) | 2014.08.13 |
論理氣(논리기)-許穆(허목) (0) | 2014.07.05 |
口呼自感一首....(구호자감일수...)-安鼎福(안정복) (0) | 2014.06.07 |
牧隱 誡 子孫詩(목은 계 자손시) (0) | 2014.04.25 |
權近(권근)- 四字銘(사자명) (0) | 2013.12.17 |
攝生序(섭생서)-洪萬選(홍만선) (0) | 2013.12.15 |
攝 生.總論(섭생.총론)-洪萬選(홍만선) (0) | 2013.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