風水學(풍수학)

雪心賦(설심부)2.

華谷.千里香 2017. 2. 19. 15:39

 

 

 

雪心賦(설심부)2.

 

 

제 11장 論仙迹祖墳

追尋仙迹 看格尤勝看書,奉勸世人信耳 不如信眼

(추심선적 간격우승간서,봉권세인신이 불여신안)

선적을 찾아가서 격을 보고 여기에 책을 보면 좋고

세인들은 귀를 믿을 것을 권하지만 눈을 믿는 것보다 못하다.

 

山峻石麤流水急 豈有眞龍,左回右抱主賓迎 必生賢佐

(산준석추유수급 기유진룡,좌회우포주빈영 필생현좌)

*峻(높을 준) *麤(거칠 추)

*賢佐:임금을 보좌하는 현인

산이 험하고 돌은 거칠고 물이 급하게 흐르면 어찌 진룡이 있겠는가

좌우에서 회포하고 주인과 손님이 맞이하면 필히 현좌가 태어난다.

 

取象不宜穿鑿  入眼正是有情

(취상불의천착 입안정시유정)

*穿(뚫을 천) *鑿(뚫을 착)

*穿鑿:꼬치꼬치 캐고 따짐(즉,억지로 이치에 맞추려 함)

상을 취하는데는 천착은 마땅치 않고

눈에 들어오는 것은 유정해야 바르다.

 

曆觀富貴家之祖墳  必得山水間之正氣

(역관부귀가지조분 필득산수간지정기)

*曆(책력 력,운수력)

부귀한 집의 조상묘 운을 보면 반듯이 산수간의 정기를 얻었다.

 

何年興何年廢 鑑此成規, 某山吉某山凶 瞭然在目

(하년흥하년폐 감차성규, 모산길모산흉 요연재목)

*廢(폐할 폐) *瞭(밝을 료)

어느 년에 흥하고 어느 년에 폐하는 것은 규모의 이루어짐으로 보고

어떤 산은 길하고 어떤 산은 흉한 것을 밝히는 데는 눈에 있다.

 

水之禍福立見  山之應驗稍遲

(수지화복입견 산지응험초지)

*驗(증험할 험)*稍(벼 줄기 끝초,점점초)*遲(늦을 지)

물의 화복은 빠르고 산의 응험은 더디고 천천히 나타난다.

 

地雖吉葬多凶 終無一發,  穴尙隱尋未見 晋待後來

(지수길장다흉 종무일발, 혈상은심미견 진대후래)

*隱(숨을 은) *尋(찾을 심) *晋(삼갈 진)

땅이 비록 좋더라도 장사(재혈)에 흉함이 많으면 끝까지 하나의 발복이 없고

혈은 오히려 숨어있기 때문에 찾아도 보이지 않고

나중에 올 사람을 위해 삼가 기다리고 있다.

 

 

제 12장 論後龍(후룡에 대해 논한다)

毋執已見 而擬精微,  須看後龍 而分貴賤

(무집이견 이의정미, 수간후룡 이분귀천)

*執(잡을 집) *擬(헤아릴 의)

잡지도 않고 이미 보았다면 정교함을 헤아릴수 있으리요,

모름지기 후룡을 살피고 귀천을 구분한다.

 

三吉鍾於何地  則取前進後退之步量

(삼길종어하지 칙취전진후퇴지보량

劫害出於何方 則看三合四冲之年月

겁해출어하방 칙간삼합사충지년월)

*三吉: 尖圓方

삼길은 어디에 있으며 앞뒤로 걸어 헤아려서 (혈을)취하고

겁주고 해를 주는 것은 어느 방위에 있으며 삼합사충의 시기를 본다.

 

遇吉則發,  逢凶則禍

(우길칙발, 봉흉칙화)

*遇(만날 우) *逢(만날 봉)

길하면 발복이 있고 흉함을 만나면 화를 입는다.

 

山大水小者 要堂局之寬平,  水大山小者 貴祖宗之宏厚

(산대수소자 요당국지관평, 수대산소자 귀조종지굉후)

*寬(넓을 관) *宏(클 굉) *厚(두터울 후)

산이 크고 물이 작으면 명당이 넓고 평평해야 하고

물이 크고 산이 작으면 조종산이 크고 두터워야 한다.

 

 

제13장 論水口

一起一伏斷了 斷頭更有奇踪,  九灣九曲回後 下手更尋水口

(일기일복단료 단두갱유기종, 구만구곡회후 하수갱심수구)

*了(마칠 료) *踪(자취 종) *灣(물굽이 만)

한 번 일어서고 한 번 엎드리며 끊어짐이 마치면

끊어진 머리에서는 다시 기이한 자취가 있고

물이 구곡구만으로 뒤로 돌아가고 처음부터 수구를 다시 살펴야한다.

 

山外山稠疊 補缺遮空,  水外水橫闌 弓灣弩滿

(산외산조첩 보결차공, 수외수횡란 궁만노만)

*稠(빽빽할 조) *補(기울 보) *缺(이지러질 결)

*遮(막을 차)*闌(가로막을 란) *弩(쇠뇌 노)

산밖에 산이 빽빽하고 첩첩하면 부족함을 보충해주고 비어있는 것을 막아주며

물밖에 물은 옆으로 옆으로 막아주면 둥근 활이나 둥글어진 쇠뇌같다.

 

緊狹者富必旋踪  寬平者福必悠深

(긴협자부필선종 관평자복필유심)

*緊(굳게 얽을 긴) *狹(좁을 협) *旋(돌 선) *踪(자취 종)*緊狹: 高近

좁게 감으면 반듯이 부의 자취가 (빠르게)굴어오고

넓고 평평하면 반듯이 복이 멀고 깊다.

 

茂林盛草 滿山崗氣象旺相,  地軸天關 外水闌世代榮華

(무림성초 만산강기상왕상, 지축천관 수외란세대영화)

*崗(언덕 강) *軸(굴대 축) *關(빗장 관) *闌(가로막을 란)

무성한 숲과 풀로 된 산은 기상이 왕성하고

지축천관은 물밖에서 가로 막으면 대대로 영화로다.

#天門: 水來處

#地戶: 水出處

 

 

제14장 論支龍羅星

牛畏直繩 虎防暗箭

(우외직승 호방암전)

*牛:穴前水 *畏(두려워할 외) *繩(줄 승) *暗(어두울 암) *箭(화살 전)

물은 줄처럼 곧게 나가는 것을 두려워하고

백호는 물래 쏘는 화살을 막아야 한다.

 

玄武不宜吐舌  朱雀切忌破頭

(현무불의토설 주작절기파두)

*吐(토할 토) *舌(혀 설)

현무가 내민 혀바닥 모양이면 마땅하지 않고

주작은 깨진 머리모양을 절대로 꺼린다.

# 吐說則泄氣(설기):기가 세어나감

# 破頭:너덜지대로 橫禍가 생김

 

穴前忌發深坑  臂上怕行交道

(혈전기발심갱 비상파행교도)

*坑(구덩이 갱) *臂(팔 비)*怕(두려워할 파)

혈앞에 깊은 구덩이를 피하여 하고

팔위(용호)로 교차로가 나는 것을 두려워한다.

#坑則死亡 路則散財殺傷自縊 *縊(목 맬 액)

 

上不正而 下參差者無功,  左空缺而 右重抱者徒勞

(상부정이 하참차자무공, 좌공결이 우중포자도로)

*參差: 뒤섞이고 어긋남 *缺(이지러질 결)

위(主山)는 바르지 못하고 아래(案山,朝山)는 뒤섞이고 어긋나면 공이 없고

왼쪽은 비어 있고 오른쪽은 여러겹으로 쌓이면 힘만 쓰게 된다.

 
外貌不足而內相有餘 誰能辨此,  大象可觀而小節可略 智者能知

(외모부족이내상유여 수능변차, 대상가관이소절가략 지자능지)

*貌(얼굴 모)

외모(龍砂水)는 부족하지만 내상(穴)이 넉넉하면 누가 능히 이를 분간하며,

큰 상은 가히 볼만하지만 작은 마디는 가히 생략하니(大吉小凶),

지혜로운 자는 능히 안다.

 

何精神顯露者反不祥  何形勢隱拙者反爲吉

(하정신현로자반불상 하형세은졸자반위길)

*隱(숨길 은) *拙(졸할 졸)

어떤 정신은 나타나서 오히려 좋지 못하고

어떤 형세는 숨고 졸하여도 오히려 길하다.

 

隱拙者定有 奇蹤異迹,  顯露者多是 花穴假形

(은졸자정유 기종이적, 현로자다시 화혈가형)

*蹤(자취 종) *迹(자취 적)

숨고 졸한 땅이지만 반듯이 기이한 종적이 있고

(쉽게)나타나 있는 것은 대개 화혈이거나 가짜형이다.

 

膠柱鼓瑟者何知,  按圖索驥者何曉

(교주고슬자하지, 안도색기자하효)

*膠(아교 교) *柱(기둥 주,기러기발 주) *瑟(큰 거문고 슬)

*按(누를 안) *索(동아줄 삭,가릴 삭) *驥(천리마 기) *曉(새벽 효)

기러기발을 붙치고 거문고를 치면 어찌 알것이며

그림으로 천리마를 찾으려면 어떻게 밝히겠는가.

 

*人傑은 地靈

경기도는 경중미인(鏡中美人): 거울 속의 미인

충청도는 청풍명월(淸風明月): 상쾌한 바람 속에 밝은 달

전라도는 풍전세류(風前細柳): 바람 앞에 흔들이는 가는 버들

경상도는 태산준령(泰山峻嶺): 크고 높은 산에 높은 고개

황해도는 석전경우(石田耕牛): 돌밭을 가는 우직한 소

강원도는 암하노불(岩下老佛): 바위 아래 점잖은 부처

평안도는 맹호출림(猛虎出林): 숲에서 나오는 사나운 호랑이

함경도는 니전투구(泥田鬪狗): 진흙탕 밭에서 싸우는 개

*全南 三城三平:

谷城군 長城군 寶城군, 咸平군 (나주)南平면 (담양)昌平면

 

城上星峰卓卓 呼爲揷戟護垣,  面前古冢累累 喚作排衙唱喏

(성상성봉탁탁 호위삽극호원, 면전고총루루 환작배아창야)

*卓(높을 탁) *揷(꽂을 삽) *戟(창 극) *垣(담 원)

*累(묶을 루) *喚(부를 환) *排(밀칠 배) *衙(관청 아) 喏(예 야)

사산(四山)밖에 (많은)산이 높고 뾰쪽하게 있으면

창을 꽂아 담을 보호하는 것이라고 부르고

혈앞에는 고총이 (낮고 작은 산이)총총하면 관청에서 부르면 대답하는 것이다.

 

華表捍門居水口  樓臺鼓角列羅星

(화표한문거수구 누대고각열나성)

*捍(막을 한)

화표와 한문이 수구에 있고 누와 대와 곡과 각이 펼쳐있다.

 

衆山輻輳旺益旺  百川同歸淸又淸

(중산폭주왕익왕 백천동귀청우청)

*輻(바퀴살 복) *輳(모일 주)

여러 산이 한 곳에 모이면 아주 왕성하고 여러 물이 한 곳으로 돌아가면 아주 맑다.

 

山稱水 水稱山 不宜偏勝,  虎讓龍 龍讓虎 只要比和

(산칭수 수칭산 불의편승, 호양룡 용양호 지요비화)

*稱(일컬을 칭, 저울 칭) *偏(치우칠 편)

산이 물을 저울질하고 물이 산을 저울질하여 치우치면 마땅치 않고

백호가 청룡에게 양보하고 청룡이 백호에게 양보하여 서로 화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陰關鎖(청룡이 백호를 감는 것):多女小男,

 陽關鎖(백호가 청룡을 감는 것):多男小女

 

八門缺 八門吹 朱門餓孚,  四水歸 四獸聚 白屋公卿

(팔문결 팔풍취 주문아표, 사수귀 사수취 백옥공경)

*朱門: 高官宅 *餓(주릴 아) *莩(굶어죽을 표)*四獸:청룡,백호,주작,현무

*白屋:띠로 지붕을 이은 초라한 서민의 집

팔방이 결하여 팔문에 (바람이)불어오면 주문도 굶어죽고

여러 물이 돌아가고 사수가 모이면 백옥이 공경된다.

 

突中之窟難遷,  窟中之突莫棄

(돌중지굴난천, 굴중지돌막기)

*窟(굴 굴)

돌중에 굴로 되면 옮기기 어렵고, 굴중에 돌은 버리지 않는다.

*窟中之突(=窩中微突)

 

窮源千仞 不如平地一堆,  外鎖千里 不如彎弓一案

(궁원천인 불여평지일퇴, 외쇄천리 불여만궁일안)

*窮(다할 궁)*源(근원 원)*仞(길 인,높을 인)*堆(언덕 퇴)*彎(굽을 만)

*窮源:山水初發處

궁원의 천인은 평지의 한 무더기 보다 못하고

밖으로 천리를 막아주어도 만궁 하나보다 못하다.

 

山秀水響者 終爲絶穴,  山急水麤者 多是神壇

(산수수향자 종위절혈, 산급수추자 다시신단)

*響(울림 향)

산이 수려해도 물소리가 울리면 결국에는 끊어지는 혈이 되고,

산이 급하고 물이 거칠면 대개 신단(神壇)의 터가 된다.

 

平地高山 總宜奇穴,  窮源僻塢 莫問眞龍

(평지고산 총의기혈, 궁원벽오 막문진룡)

*僻(피할 벽) *塢(둑 오, 촌락 오)

평지나 고산이나 마땅히 기혈은 있고,

벽지궁원의 마을을 피하고 진룡을 묻지 않는다.

 

遠看脚頭 高擡眼力

(원간각두 고대안력)

*擡(들 대)

멀리서는 (산의)다리와 머리를 보고 안력을 높이 올린다.

 

 

제15장 論砂水不拘方位(사와 수는 방위에 구애받지 않는다)

根大則枝茂 源深則流長, 要龍眞而穴正 要水秀而砂明

(근대칙지무 원심칙류장, 요룡진이혈정 요수수이사명)

*茂(우거질 무)

뿌리가 크면 가지가 무성하고 근원이 깊으면 흐름도 길다.

용이 참하고 혈이 바라야 하고 물은 빼어나야하고 사는 밝아야 한다.

 

登山見一 水之斜流 退官落職,  到穴見衆 山之背去 失井他鄕

(등산견일 수지사류 퇴관낙직, 도혈견중 산지배거 실정타향)

산에 올라 한 번에 보아 물이 비껴 흐르면 관직을 떠나거나 떨어지고

혈에 이르러 여러 산을 보아 배반하고 나가면 실정하고 타향살이한다.

 

若見 文筆之孤單 硯池自然汚,  枉鑿匡衡之壁 徒閉孫敏之門

(약견 문필지고단 연지자연오, 왕착광형지벽 도폐손민지문)

*硯(벼루 연) *汚(더러울 오) *枉(굽을 왕) *鑿(뚫을 착)

*匡衡, 孫敏: 공부는 많이 하였으나 등용이 안된 사람

만약에 문필봉만 孤單하게 보이고 연못이 스스로 더러워지면

광형의 벽은 굽어 뚫였으며 손민의 문은 닫혔을 뿐이다.

 

射山被 流水之反牽 花蜂釀蜜,  懷抱有 圓峰之秀異 蜾鸁負螟

(사산피 류수지반견 화봉양밀, 회포유 원봉지수이 과라부명)

*牽(끌 견) *蜾, 鸁(나나니벌 과)* 蜾鸁: 나나니벌 無雌 *螟(마디충 명)

*螟蛉(명령): 나비의 유충. 나나이벌이 이 벌레의 새끼를 길러서

자기의 새끼로 만든다고 해서 양자를 뜻함.

사산이 있되 물은 오히려 끌어오면 꽃벌이 꿀을 만들기만 하고(자신은 못먹는다)

품고 안는 산안쪽에 둥근 봉이 수려하고 특이하면 나나니벌이 명령을 가져온다.

 

一歲九遷 定是水流九曲  十年不調 盖因山不十全

(일세구천 정시수류구곡 십년부조 개인산불십전)

*一歲九遷: 짧은 기간에 여러번 영전한다는 말

일년에 아홉번을 옮기는 것은 반듯이 물이 구곡으로 흐르고

10년 조화가 없으면 대개 산 때문이며 열 곳이 온전하지 못하다.

 

水若屈曲有情 不合星辰亦吉,  山若斜碎入穴 縱合卦例何爲

(수약굴곡유정 불합성진역길, 산약사쇄입혈 종합괘예하위)

*斜(비낄 사) *碎(부술 쇄) *縱(늘어질 종)

만약에 물이 굴곡하여 유정하다면 성신에 부합하여도 길하고

산이 기울고 부서져 혈에 들어오면 괘예에 부합되어도 어찌 쓰겠는가.

 

覆宗絶嗣 多因水窮山窮, 滅族亡家  總是山走水飛, 不問何方 允地爲吉

(복종절사 다인수궁산궁, 멸족망가 총시산주수비, 불문하방 윤지위길)

*覆(뒤집힐 복) *嗣(이을 사) *兆(조짐 조)

집안이 뒤집어지고 손이 끊어지는 것은 대개 물과 산이 다 하기 때문이고

멸족하고 집이 망하는 것은 모두 산이 날아가고 물이 도주하기 때문이다.

어느 방위를 불문하고 진정으로 땅이 길하여야 한다.

#吉한 것은 凶方에 있어도 길하고, 凶한 것은 吉方에 있어도 凶하다.

 

 

제16장 論龍身貴氣(용신의 귀한 기운을 논한다)

論官品之高下 以龍法而推求

논관품지고하 이룡법이추구

벼슬의 높고 낮음을 논하는 것은 내룡의 법으로써 추구한다.

 

天乙太乙侵雲霄 位居臺諫,  禽星獸星居水口 身處翰林

(천을태을침운소 위거대간, 금성수성거수구 신처한림)

*霄(하늘 소) *禽(날짐승 금) *獸(들짐승 수)

천을태을이 하늘속에 있으면 지위가 대간에 있고,

금성과 수성이 수구에 있으면 몸이 한림에 있다.

 

數峰揷天外 積世公卿,  九曲入明堂 當朝宰輔

(수봉삽천외 적세공경, 구곡입명당 당조재보)

*揷(꽂을 삽)

여러 봉이 하늘 밖으로 솟으면 여러 대에 공경이 나오고

구곡수가 명당에 들어오면 당연히 조정의 재상이 된다.

 

左旗右鼓 武將兵權,  前障後屛 文臣宰輔

(좌기우고 무장병권, 전장후병 문신재보)

*旗(깃발 기) *障(가로막을 장) *屛(병풍 병)

왼쪽에는 깃발이 있고 오른쪽에는 북이 있으면 무장으로 병권을 잡고

앞에는 가로 막혀있고 뒤에는 병풍이 있으면 문신으로 재상이 된다.

 

文筆聯於誥軸 一擧登科,  席帽近於御屛 東宮侍講

(문필연어고축 일거등과, 석모근어어병 동궁시강)

*誥(고할 고) *軸(굴대 축) *席(자리 석) *帽(모자 모)

*東宮: 태자의 궁 *侍講:임금에게 경서를 강의하는 벼슬

문필봉에 잇달아 고축이 있으면 일거에 등과하고

석모가 어병에 가까이에 있으면 동궁에 시강이 된다.

 

銀甁盞注 富比石崇,  玉帶金魚 貴如裴度

(은병잔주 부비석숭, 옥대금어 귀여배도)

*甁(병 병) *盞(잔 잔) *注(물댈 주)

은병과 잔주는 부가 석숭에 비교되고 옥대와 금어는 귀함이 배도와 같다.

 

蛾眉山現 女作宮妃,  誥軸花開 男婚公主

(아미산현 여작궁비, 고축화개 남혼공주)

*蛾(나방 아,초승달 아) *眉(눈썹 미) *誥(고할 고) *軸(굴대 축)

아미사가 보이면 여자는 궁비가 되고,

고축화개사 남자는 공주와 혼인한다.

 

魚袋若居兌方 卿相可期  天馬出自南方 公侯立至

(어대약거태방 경상가기 천마출자남방 공후립지)

*袋(자루 대) *卿(벼슬 경)

어대사가 서쪽에 있으면 경상을 가이 기약하고

천마사가 남쪽에 있으면 공후에 이른다.

 

頓筆多生文士 卓旗定出將軍

(돈필다생문사 탁기정출장군)

*頓(조아릴 돈) *卓(높을 탁) *旗(기 기)

돈필사는 문사가 많이 나고 탁기사는 반듯이 장군이 나온다.

 

內臺外臺 文武不同 某郡某州 分野可測

*內臺:중앙직 *外臺:지방직 *測(잴 측,헤아릴측)

내직과 외직, 문직과 무직은 같지않고

모군과 모주의 지역을 헤아린다.

 

御座御屛 入內臺而掌翰  頓槍頓鼓 鎭閫外而持權

(어좌어병 입내대이장한 돈창돈고 진곤외이지권)

*掌(손바닥 장) *翰(날개 한) *頓(조아릴 돈) *閫(문지방 공) *閫外:성밖

=어좌사와 어병사는 내직에 들어가 한림을 쥐고

돈창과 돈고는 도성 밖을 진압하여 병권을 가지게 된다.

 

文峰低而 顔淵夭  天柱高而 彭祖壽

(문봉저이 안연요 천주고이 팽조수)

*顔淵:공자의 수제자로 32세로 요사 *彭祖:중국의 전설인 인물로 800세 장수

문봉이 낮으면 안연처럼 요사하고 천주(主山)가 높으면 팽조처럼 수명한다.

 

印浮水面 煥乎其有文章  水聚天心 自然而得富貴

(인부수면 환호기유문장 수취천심 자연이득부귀)

도장이 수면에 뜨면 문장이 나서 빛나고

물이 천심(명당)에 모이면 부귀를 얻는데 자연스럽다.

 

帶倉帶庫 陶猗之産可望  生曜生官 王謝之名可期

(대창대고 도의지산가망 생요생관 왕사지명가기)

창을 두르고 고를 두르면 도의의 재산을 가히 바라고

요가 나고 관이 나면 왕사의 명성을 가히 기약한다.

 

巧憑眼力 妙在心思

(교빙안력 묘재심사)

*巧(공교할 교) *憑(기댈 빙)

공교함은 안력에 의거하고 묘한 것은 심사에 있다.

 

 

제 17장 論貴穴貴砂

物而類推 穴由形取

(물이류추 혈유형취)

물체의 유형으로 추측하고 혈은 형체에서 취한다.

 

虎與獅猊相似  雁與鳳凰不殊

(호여사예상사 안여봉황불수)

*猊(사자 예) *殊(죽일 수.다를 수)

호랑이와 사자는 서로 비슷하고

기러기와 봉황은 다르지 않다.

 

或一少差 指鹿爲馬, 渾然無別 認蚓爲蛇

(혹일소차 지록위마 혼연무별 인인위사)

*鹿(사슴 록) *渾(흐릴 혼) *蚓(지렁이 인) *蛇(뱀 사)

혹시 적은 차이로 사슴을 가르키고 말이라고 하고

혼연하여 구별하지 못하면 지렁이를 뱀으로 안다.

 

或取斜曲爲? 四圍不顧,  或求橫直爲劍 兩畔不抱

(혹취사곡위차 사위불고, 혹구횡직위검 양반불포)

*斜(비낄 사) *?(비녀 차) *圍(둘레 위) *畔(두둑 반)

혹은 기울고 굽으면 비녀형인데 주변을 돌아 보아야한다.

혹은 횡직을 구하여 검형이면 양쪽에서 두둑을 쌓아야 한다.

 

文筆畵筆 二者何分 衙刀殺刀  兩般難辨,若坐山秀麗 殺刀化作衙刀

(문필화필 이자하분 아도살도 양반난변,약좌산수려 살도화작아도

或本主賤微 文筆變爲畵筆

혹본주천미 문필변위화필)

*衙(마을 아) *辨(분별할 변) *賤(천할 천) *微(작을 미)

문필과 화필을 어떻게 구분하며 아도와 살도는 구분하기 어렵고,

만약에 좌산이 수려하면 살도가 아도로 변하고

본주가 천미하면 문필도 화필로 변한다.

 

尖槍本凶具 遇武士而爲奇,  浮屍固不祥 逢群鴉而反吉

(첨창본흉구 우무사이위기, 부시고불상 봉군아이반길)

*槍(창 창)*遇(만날 우)*浮(뜰 부)*屍(주검 시)*固(굳을 고)*鴉(갈가마귀 아)

뾰쪽한 창은 본래 흉한 도구이지만 무사를 만나면 기이하고

떠 있는 시체은 상서롭지 못하지만 갈가마귀 떼를 마나면 오히려 길하다.

 

葫蘆山現術士醫流  木杓形連瘟㾮孤寡

(호로산현술사의류 목표형연온황고과)

*葫(호로병 호)*蘆(갈대 로)*杓(자루 표)*瘟(염병 온)*㾮(황)*寡(적을 과)

호로산이 보이면 술사나 의사로 나가고

목표산이 연이으면 질병과 고과이다.

 

鼓笛非神仙不取 無道器則出樂官,  印劍非天師不持 有香爐則爲巫祝

(고적비신선불취 무도기칙출악관, 인검비천사불지 유향로칙위무축)

북과 피리는 신선이 아니면 가지지 않는데 도기가 없으면 악사가 되고

도장과 칼은 천사가 아니면 가지지 않는데 향로만 있으면 무당이 된다.

 

或是胡僧禮佛 誤爲拜相鋪氈,  或是屍山落頭 錯作謝恩領職

(혹시호승예불 오위배상포전, 혹시시산낙두 착작사은영직)

*胡(오랑캐 호) *鋪(펼 포) *氈(모전 전)*錯(섞일 착)

혹 호승예불형을 배상포전으로 잘못알고,혹 시산낙두를 사은영직으로 착각한다.

 

形如囚獄 祥雲捧月何殊  勢聳旛花 與風吹羅帶何異

(형여수옥 상운봉월하수 세용번화 여풍취나대하이)

*囚(가둘 수) *獄(옥 옥)*捧(받들 봉) *聳(솟을 용) *旛(기 번)

형이 감옥같으면 상운봉월과 어디가 다르며

세가 번화처럼 솟으면 풍취나대와 무엇이 다르다.

 

出陣旗見劫山 爲劫盜,  判死筆遇殺水 爲殺傷

(출진기견겁산 위겁도, 판사필우살수 위살상)

*劫(위협할 겁) *劫山: 石山이 흉하여 겁을 주는 산

출진하는 깃발이 겁산을 보면 강도가 되고

사필이 살수를 만나면 살상을 당한다.

 

一坏土居正穴之前 未可斷爲患眼 一小山傍大山之下 未可指爲墮胎

(일배토거정혈지전 미가단위환안 일소산방대산지하 미가지위타태

或作蟠龍戱珠 或作靈猫捕鼠

혹작반룡희주 혹작령묘포서)

*坏(언덕 배) *傍(곁 방) *墮(떨어질 타) *胎(아이 밸 태)

*蟠(서릴 반) *猫(고양이 묘) *捕(사로잡을 포) *鼠(쥐 서)

배토가 혈앞에 있으면 가히 환안(=눈병)을 단정하기 어렵고

하나의 작은 산이 큰 산아래에 있으면 가히 타태(=낙태)됨을 가르치기 어렵다.

혹 반룡형에 농주안이고, 혹 영묘형에 포서안이다.

 

貴通活法 莫泥陳言

(귀통활법 막니진언)

*泥(진흙니) *活法: 이치에 맞는 말 *陳言:이치에 맞지 않아 쓸데 없는 말

귀함은 활법으로 통하고 진언에 빠지지 마라.

 

捲簾水現 入舍塡房  珥筆山尖 敎唆訟事

(권렴수현 입사전방 이필산첨 교사송사)

*捲(말 권) *簾(발 렴)*塡(메울 전)*珥(귀엣고리 이)*唆(부추길 사)

*珥筆山:山頭分高低斜尖

권렴수가 나타나면 집의 방을 메우고

이필산이 뽀쪽하면 송사를 교사한다.

 

兒孫忤逆 面前八字水流 男女淫奔 案外抱頭山現

*忤(거스를 오) 淫(음란할 음) 奔(야합할 분)

어린 손자가 거꾸로 거스르면 면전에 팔자수가 흐름이고

남녀가 음란한 것은 안산 밖에 포옹하는 산이 나타남이다.

 

玉印形如破碎 非瞽目則主傷胎,  金箱頭若高低 非煙包則爲灰袋

(옥인형여파쇄 비고목칙주상태, 금상두약고저 비연포칙위회대)

*破(깨뜨릴 파) *碎(부술 쇄) *瞽(소경 고) *胎(아이 밸 태)

*箱(상자 상) *煙(연기 연) *包(쌀 포) *灰(재 회) *袋(자루 대)

(혈앞에)도장바위가 깨트려져 있으면 소경이 아니면 낙태를 하고,

(혈앞에)상자 머리의 높낮이가 다르면 연기에 싸이거나 회대된다.

 

探頭側面 代有穿窬  拭淚搥胸 家遭喪禍

(탐두측면 대유천유 식루추흉 가조상화)

*探(찾을 탐) *側(곁 측) *穿(뚫을 천) *窬(협문 유)

*拭(닦을 식) *淚(눈물 루) *搥(칠 추) *胸(가슴 흉) *遭(만날 조)

탐두와 측면은 대대로 작은 문을 뚫는 사람이 나고

눈물을 닦고 가슴을 치는 모양은 집안에 죽을 화를 만난다.

 

屍山居水口 路死扛屍  腫脚出墳前 瘟㾮浮腫

(시산거수구 노사강시 종각출분전 온황부종)

*屍(주검 시) *扛(멜 강) *腫(부스럼 종)

*墳(무덤 분) *瘟(염병 온) *㾮(병들 병) *浮(뜰 부)

시체모양의 산이 수구에 있으면 길에서 죽어 시체를 메게 오고

종각산이 묘앞에 있으면 염병이나 부종에 걸린다.

 

出林虎無以啖之則傷人  伏草蛇無以制之則害己

(출임호무이담지칙상인 복초사무이제지칙해기)

*啖(먹을 담) *傷(상처 상) *伏(엎드릴 복) *損(덜 손)

숲에서 나오는 호랑이는 먹을 것이 없으면 사람을 상하게 하고

풀속에 뱀이 엎드려 있어 막지 못하면 자기가 손해를 본다.

 

蜈蚣鉗裏眠犬懷中  凡此惡形遷之有法

(오공겸리면견회중 범차악형천지유법)

*蜈(지네 오) *蚣(지네 공) *鉗(칼 겸) *裏(속 리) 

*懷(품을 회) *遷(옮길 천)

지네는 겸혈 안이고 잠자는 개는 품속에 있다.

대개 이러한 악형에도 천장하는 법이 있다.

 

嘶馬必聞風於他處  驚蛇還畏物於坡中

(시마필문풍어타처 경사환외물어파중)

*嘶(울 시) *驚(놀랄 경)*畏(두려워할 외) *坡(고개 파)

우는 말은 필히 다른 곳에서 바람을 듣고

놀란 뱀은 고개에 물건을 두려워 돌아온다.

 

取舟楫於前灘  貴遊魚於水上

(취주즙어전탄 귀유어어수상)

*取(취할 취) *楫(노 즙) *灘(여울 탄) *遊(놀 유)

배의 노는 앞의 물을 취하고, 노는 물고기는 물위가 귀하다.

 

荷葉不可重載  瓜藤僅可小裁

(하엽불가중재 과등근가소재)

*荷(연 하)*葉(잎 엽)*載(실을 재)*裁(마를 재)*藤(등나무 등)

*僅(겨우 근)*裁(마를 재)

연잎은 무거운 것을 싣지 못하고 오이줄기는 겨우 작은 혈을 짖는다.

 

泊岸浮藤豈畏風  平沙落雁偏宜水

(박안부등개외풍 평사낙안편의수)

언덕이 있으면 부등은 어찌 바람을 두려워하리

평사에 낙안은 주변에 수가 마땅하리라.

*泊(배 댈 박) *岸(언덕 안) *畏(두려워할 외) *偏(치우칠 편)

 

魚貫而進 馨香在於卷阿  雁陣而低 消息求於逈野

(어관이진 형향재어권아 안진이저 소식구어형야)

*馨(향기 형) *卷(굽을 권) *阿(언덕 아)*雁(기러기 안)*逈(빛날 형)

물고기떼가 나아가는 곳은 굽은 언덕에 향기가 있고

기러기떼가 낮게 날르면 쉴 수 있는 빛나는 들판을 구한다.

 

人形葬於臍腹 却要窩藏,  禽形妙在翼阿 不拘左右

(인형장어제복 각요와장, 금형묘재익아 불구좌우)

*臍(배꼽 제) *腹(배 복) *却(물리칠 각) *窩(움집 와)

*翼(날개 익) *阿(언덕 아)

사람의 형은 제복에 장사하여 와로 (바람을)갈무리하여야 하고

날짐승의 형은 날개에 묘함이 있어 좌우(의 날개)에 잡지 않는다.

 

蓋粘倚撞 細認穴情

(개점의당 세인혈정)

*蓋(덮을 개) *粘(끈끈할 점)*倚(의지할 의)*撞(칠 당)

개점의당으로 세밀히 혈정을 알아야 한다.

 

不可一途而取 豈容一例而言

*途(길 도)

한가지 방법으로 취하는 것은 불가하고,

어찌 한가지 보기의 말로 표현 할 수 있겠는가.

 

犀牛望月 靑衫出自天衢,  丹鳳含書 紫誥頒於帝闕

(서우망월 청삼출자천구, 단봉함서 자고반어제궐)

*犀(물소 서) *衢(네거리 구)*誥(알릴 고) *頒(나눌 반)*闕(대궐 궐)

물소가 달을 바라보는 형국은 청삼을 입고 천구로 나가게 되며

단봉이 문서를 입에 물고있는 형국은 대궐에서 반포한다.

 

呑吐浮沈 務依藏法

(탄토부침 무의장법)

呑(삼킬 탄) 吐(토할 토) 浮(뜰 부) 沈(가라앉을 침)

탄토부침의 네가지 장법에 의거하여 힘써야 한다.

 

脣臍目尾顙腹 三吉三凶  角耳鼻脇腰足 四凶二吉

(순제목미상복 삼길삼흉 각이비협요족 사흉이길)

*脣(입술 순) *臍(배꼽 제) *顙(이마 상) *脚(다리 각)

*鼻(코 비) *脇(옆구리 협) *腰(허리 요)

제상복은 길하고 순목미는 흉하고, 이비는 길하고 각협요족은 흉하다.

 

形似亂衣 妻必淫女必妬  勢如流水 家必敗人必亡

(형사난의 처필음녀필투 세여류수 가필패인필망)

*妬(강새암할 투)

산형이 어지러운 옷과 같으면 처는 반듯이 음녀이며 투기를 하고

산세가 흐르는 물과 같으면 가정은 반듯이 패하고 사람도 망한다.

 

或遇提籮之山 定生乞丏  若見擎拳之勢 定出凶徒

(혹우제라지산 정생걸면 약견경권지세 정출흉도)

*籮(광주리 라) *乞(빌 걸) *丏(가릴 면) *擎(들 경) *拳(주먹 권)

혹 제라의 산을 만나면 정히 걸인이 나고

만약에 경권의 세가 보이면 절히 흉한 무리가 나온다.

 

水破太陰 雲雨巫山之輩,  山欹文曲 風流洛浦之人

(수파태음 운우무산지배, 산의문곡 풍류낙포지인)

*太陰: 蛾眉金星 *欹(기울 의) *文曲: 水星

물이 태음을 깨트리면 음탕한 (여자)무리가 되고

산이 문곡으로 기울면 낙포같은 (남자)풍류인이 된다.

 

頭開兩指似羊蹄 出人忤逆(祖山),  腦生數摺如牛脅 犯法徒刑(砂法)

(두개양지사양제 출인오역(조산), 뇌생수접우협 범법도형(사법)

*蹄(굽 제) *忤(거스를 오) *腦(뇌 뇌) *摺(접을 접) *脅(갈비 협)

머리가 양발굽 비슷하게 양쪽으로 가르키면 거스르는 사람이 나고

뇌에 소갈비처럼 여러개의 산줄기가 펼치면 범법하는 무리로 형을 받게된다.

 

文筆若坐懸針 絶宜謹畏, 孝帽若臨大墓 勿謂無凶

(문필약좌현침 절의근외,효모약림대묘 물위무흉)

*孝帽: 대칭이 안되고 한쪽이 경사가 진 산

문필봉이 만약에 현침사로 있으면 삼가 두려려함이 아주 마땅하고

효모가 만약에 대묘앞에 있으면 흉함이 없다고 할 수 없다.

 

小人中君子 鶴立鷄群,  君子中小人 蓬生麻內

(소인중군자 학립계군, 군자중소인 봉생마내)

*小人: 散亂粗惡 *君子: 秀麗端正

소인중 군자는 학이 닭무리 가운데 서있는 격이고,

군자중에 소인은 삼밭속에 쑥이 나는 것이다.

 

珉中玉表 多生庶出之兒  狐假虎威 必主過房之子

(민중옥표 다생서출지아 호가호위 필주과방지자)

*狐假虎威: 來龍與四山有勢有情穴山微弱 *過房之子: 養子

돌중에 옥이 나오면 서출이 많이 나오고

이리가 가짜로 호랑이의 위엄을 부리면 반듯이 과방에 아들을 둔다.

 

爲人無嗣 只因水破天心,  有子家出 定是水衝城脚

(위인무사 단인수파천심, 유자가출 정시수충성각)

*嗣(이을 사) *天心: 穴 *城脚: 龍虎

사람으로써 대를 잊지 못하는 것은 단지 천심에서 수파함이고

자녀가 가출하는 것은 물이 성각을 충함이다.

 

亦有虛供 無情似乎有情 多見前朝 如揖却非眞揖

(역유허공 무정사호유정 다견전조 여읍각비진읍

頂須尖圓而可愛 脚必走鼠而顧他 縱有吉穴可遷 不過虛花而已

정수첨원이가애 각필주서이고타 종유길혈가천 불과허화이이)

*揖(읍 읍) *脚(다리 각) *鼠(쥐 서) *縱(늘어질종)

*遷(옮길 천) *而已: 할 뿐이다

또한 공손함이 적으면 유정한 것도 같으면서도 무정하여

여러번 앞의 조산을 바라보고 읍하는 것 같아도 진읍이 아니다.

산의 정수리가 첨원하면 가히 좋으나 다리가 달리는 쥐처럼 다른 것을 바라보면

가령 길혈이라고 가히 천장을 하면 허혈에 불과 할 뿐이다.

#前應後照(전응후조) #左補右弼(좌보우필)

 

萬狀千形咸在目 三才八卦本諸心  好地只在方寸間 秘術不出文字外

(만상천형함재목 삼재팔괘본제심 호지지재방촌간 비술불출문자외)

*三才:天地人

만상과 천형은 모두 눈에 있고 삼재와 팔괘는 본래 모두 마음에 있다.

좋은 땅은 단지 방촌간에 있고 비술은 문자외에 있는 것이 아니다.

 

 
제18장 論山水

土崩陷而神鬼不妥  木凋落而旺氣將衰

(토붕함이신귀불타 목조락이왕기장쇠)

*崩(무너질 붕) *陷(빠질 함) *妥(온당할 타) *凋(시들 조)

흙이 무너져 내려 앉으면 귀신이 불안하고

나무가 시들어 잎이 떨어지면 왕성한 기운이 장차 쇠한다.

 

源流混混出明堂 氣隨飄散  白石磷磷張虎口 必主刑傷

(원류혼혼출명당 기수표산 백석린린장호구 필주형상)

*隨(따를 수) *飄(회오리바람 표) *磷(돌 험할 린) *張(크게 할 장)

원류가 혼혼하게 명당에서 나오면 기는 따라서 흩어지고

백석이 험하게 호랑이 입처럼 벌리면 주인은 필히 형상이 있다.

 

更防東屈西伸  最怕左牽右拽

(경방동굴서신 최파좌견우예)

*屈(굽을 굴) *伸(펼 신) *怕(두려워할 파) *牽(끌 견) *拽(끌 예)

다시 동쪽은 굽어있고 서족은 펴있는 것을 막아야 하고

가장 두려운 것은 왼쪽에서 끌어가고 오른쪽에서 끌어가는 것이다.

 

危樓寺觀 忌聞鍾鼓之聲  古木壇場 驚見雷霆之擊

(위루사관 기문종고지성 고목단장 경견뇌정지격)

*危(위태할 위) *鍾(종 종)*壇(단 단) *驚(놀랄 경)

*雷(우뢰 뢰) *霆(천둥 소리 정) *擊(부딪칠 격)

누각이나 절이 보여 위태함은 종소리와 북소리를 꺼리고

고목이 제단에 있으면 우뢰와 천둥소리에 놀란다.

 

怪石若居前案 必有凶災  吉星旣坐後龍 豈無厚福

(괴석약거전안 필유흉재 길성기좌후룡 기무후복)

*怪(기이할 기) *豈(어찌 기) *厚(투터울 후)

괴석이 전안에 있으면 반듯이 흉한 재앙이 있고

길성이 후룡에 이미 있으면 어지 두터운 복이 없겠는가.

 

忽覩山裂者 橫事必生  常聞水泣者 喪禍頻見

(홀도산열자 횡사필생 상문수읍자 상화빈견)

*忽(소홀히 할 홀) *覩(볼 도)*泣(울 읍) *頻(자주 빈)

갑자기 산이 찢어지면(산사태) 횡사가 필히 생기고

항상 물의 울음소리가 들리면 죽는 화를 자주보게 된다.

 

其或聲響如環佩 進祿進財,  若然滴漏注銅壺 守州守郡,

(기혹성향여환패 진록진재, 약연적루주동호 수주수군,

鼕鼕洞洞 響而亮者爲貴, 凄凄切切 悲而泣者爲災

동동동동 향이량자위귀, 처처절절 비이읍자위재)

*響(울림 향) *環(고리 환) *佩(찰 패) *祿(복 록)

*滴(물방울 적) *漏(샐 루) *壺(병 호)

*鼕(북 소리 동) *亮(밝을 량) *凄(쓸쓸할 처) *泣(울 읍)

(물)소리가 환패처럼 울리면 록과 재가 생기고,

물방울이 구리 병에 모이면 주나 군을 맡게 되고,

동동하고 울리는 소리가 밝으면 귀하게 되고,처절하게 슬피 울면 재앙이 된다.

 

然而有聲不如無聲,  明拱不如暗拱

(연이유성불여무성, 명공불여암공)

*拱(두 손 맞잡을 공) *暗(어두울 암)

그러나 소리가 나는 물은 소리가 없는 물보다 못하고,

보이는 물은 보이지 않는 물보다 못하다.

 

一來一去 有福有災,  一急一緩 有利有害

(일래일거 유복유재, 일급일완 유리유해)

(물이)한 번 오고 한 번 가는데에 따라 복이 있고 재앙이 있고

(물이)한 번 급하고 한 번 느린데에 따라 이익이 있고 손해가 있다.

 

留心四顧 緩步重登

(유심사고 완보중등)

*留(머무를 류) *顧(돌아볼 고) *緩(느릴 완)

마음을 머무르고 사방을 돌아보며 느린 걸음으로 자주 올라야한다.

 

二十四山 山名太雜,  三十六穴 穴法何迂

(이십사산 산명태잡, 삼십육혈 혈법하우)

*雜(섞일 잡) *迂(멀 우)

이십사산의 산 이름이 너무 복잡하고, 삼십육혈의 혈법은 멀기만 하다.

 

宗廟之水法誤人  五行之山運有準

(종묘지수법오인 오행지산운유준)

*廟(사당 묘) *誤(그릇할 오) *準(법도 준)

종묘의 수법은 사람을 틀리게 하고, 오행의 산운은 법도가 있다.

 

逆水來朝 不許內堂之泄氣 翻身作穴  切須外從之回頭 所貴關藏 最嫌空缺

(역수래조 불허내당지설기 번신작혈 절수외종지회두 소귀관장 최혐공결)

*泄(샐 설) *翻(날 번)*關(빗장 관) *嫌(싫어할 혐) *缺(이지러질 결)

역수가 조당에 오면 내명당의 설기를 불허하고,

번신으로 작혈하면 주변에서 따라와 회두함이 모름지기 간절하다.

관장되면 귀하고 공결을 가장 싫어한다.

 

隔水爲護者 何妨列似屛風,  就身生案者 須要回如肘臂

(격수위호자 하방열사병풍, 취신생안자 수요회여주비)

*隔(사이 뜰 격) *屛(병풍 병)*肘(팔꿈치 주) *臂(팔 비)

간격을 둔 물이 보호가 되니 어찌 병풍처럼 벌리는 것을 싫어하겠는가,

본신룡이 안을 만들면 모름지기 돌아서 팔꿈치와 팔같아야 한다.

 

毋友不如己者 當求特異之朝山, 同氣然後求之 何必十分之厚壟

(무우불여기자 당구특이지조산 동기연후구지 하필십분지후롱)

*毋(말 무) *厚(투터울 후) *壟(언덕 롱)

벗(안산)이 없어 자기보다 못하면 마땅히 특이한 조산을 구하고,

같은 기운를 구하여야 하는데 하필이면 열배나 두터운 용(안산)인가.

 

尖山秀出 只消一峰兩峰, 曲水來朝 不論大澗小澗

(첨산수출 지소일봉양봉 곡수래조 불론대간소간)

*尖(뾰족할 첨) *消(사라질 소) *澗(산골물 간)

뽀쪽한 산이 수려하게 솟아나면 단지 일봉에서 양봉으로 작야져야 하고,

곡수가 내조하면 대간소간을 논하지 않는다.

 

衆水順流而散漫 不用勞神,  四山壁立而粗雄 何勞著眼

(중수순류이산만 불용노신, 사산벽립이조웅 하노저안)

*散(흩을 산) *漫(질펀할 만) *勞(일할 로) *粗(거칠 조) *雄(수컷 웅)

여러 물이 순류하여 산만하면 신이 힘을 쓰지 않고,

사방의 산이 벽을 만들어 험악하고 웅장하면 무엇하러 힘들어 보는가.

 

山無朝移夕改之勢  水有陵遷谷變之時

(산무조이석개지세 수유능천곡변지시)

*移(옮길 이) *陵(큰 언덕 릉) *遷(옮길 천) *變(변할 변)

산은 아침에 옮기고 저녁에 고쳐지는 산세는 없지만,

물은 언덕을 옮기고 골짜기를 바꿀 때는 있다.


水不亂灣 灣則氣全,  山不亂聚 聚則形止

(수불난만 만칙기전, 산불난취 취칙형지)

*灣(물굽이 만) *聚(모일 취)

물이 어지럽지 않는 물 구비인 즉 기가 완전하고,

산은 어지럽지 않고 모인 즉 형이 머물게 된다.

 

淺薄則出人淺薄,  寬平則出人寬平

(천박칙출인천박, 관평칙출인관평)

*淺(얕을 천) *薄(엷을 박) *寬(너그러울 관)

(산수가)천박하면 사람도 천박하게 나고, 관평하면 관평한 사람이 나온다.

 

隻隻山尖射 豈子之所欲哉,  源源水斜流 其餘不足觀也

(척척산첨사 기자지소욕재, 원원수사류 기여부족관야)

*隻(하나 척) *哉(어조사 재)*斜(비낄 사) *餘(남을 여)

하나 하나의 산들이 뽀쪽하게 쏘아대면 어찌 사람들이 바라는 바인가,

물줄기들이 비껴 흘러가면 그 나머지는 부족하게 보아야 한다.

 

後山不宜壁立, 去水最怕直流

후(산불의벽립, 거수최파직류)

*壁(벽 벽) *怕(두려워할 파)

뒷산이 벽처럼 서있으면 마땅하지 못하고, 가는 물은 직류하는 것이 최고로 두렵다.

 

更嫌來短去長,  切忌左傾右瀉

(갱혐래단거장, 절기좌경우사)

*嫌(싫어할 혐) *傾(기울 경) *瀉(쏱을 사)

그리고 오는 물은 짧고 가는 물이 길면 싫어하고,

좌로 기울어지고 우로 쏟아지는 것을 절대로 꺼린다.

 

流神峻急 雖屈曲而驟發驟衰  水口關闌 不重疊而易成易敗

(유신준급 수굴곡이취발취쇠 수구관란 불중첩이이성이패)

*峻(높을 준) *驟(달릴 취)*闌(가로막을 란) *疊(겹쳐질 첩)

흐르는 정신이 준급하면 비록 굴곡하여도 빨리 발복하고 빨리 쇠하며,

수구는 관란하여도 중첩되지 않으면 쉽게 이루고 쉽게 패한다.

 

其或勢如浪湧 何如卓立之峰  脈若帶連 何必高昻之阜

(기혹세여낭용 하여탁립지봉 맥약대연 하필고앙지부

帶連者貴接續而不斷 浪湧者須重疊以爲貴

대연자귀접속이부단 낭용자수중첩이위귀)

*湧(샘 솟을 용) *卓(높을 탁) *昂(높을 앙) *阜(언덕 부)

그 혹 세가 낭용하면 높이 솟은 봉을 무엇이며(불필요),

맥이 만약에 계속 이어진다면 하필 높은 언덕을 무엇인가(불필요).

이어지는 것이 귀함이니 접속하여 끊어지지 않아야 하고,

낭용함은 모름지기 중첩되어야 기이하다.

 

脈有同幹異枝 枝嫌延蔓  勢有回龍顧祖 祖不厭高

(맥유동간이지 지혐연만 세유회룡고조 조불염고)

*嫌(싫어할 혐) *延(끌 연) *蔓(덩굴 만) *厭(싫을염)

맥이 줄기는 같으나 가지는 달라 가지가 칡덩굴 처럼 뻗으면 싫어하고,

세는 희룡고조로 되면 조산은 높은 것을 싫어하지 않는다.

 

察其老嫩精粗  審其生旺休廢

(찰기노눈정조 심기생왕휴폐)

*嫩(어릴 눈) *精(아름다울 정) *粗(거칠 조) *審(살필 심)*廢(폐할 폐)

그 노눈정조를 살피고, 그 생왕휴폐를 살펴야 한다.

#老: 嵯峨高雄 #嫩: 低軟光潤

#生:水之發源 #旺: 聚會 #休: 流出 #廢: 因謝(물러날 사)

 

 

제19장 論陽宅

若言陽宅何異陰宮,  最要地勢寬平 不宜堂局逼窄

(약언양택하이음궁, 최요지세관평 불의당국핍착)

*寬(너그러울 관) *逼(닥칠 핍) *窄(좁을 착)

만약 양택을 말하자면 음궁과 무엇이 다른 것인가.

가장 중요하는 것은 지세가 넓어야 하고 당국이 좁으면 마땅치 않다.

 

若居山谷 最怕凹風,  若在平洋 先須得水

(약거산곡 최파요풍, 약재평양 선수득수)

*怕(두려워할 파) *凹(오목할 요)

산골짜기에서는 산다면 요풍이 가장 두렵고,

평양에 있다면 모름지기 득수가 먼저다.

 

土有餘堂闢則闢,  山不足當培則培

(토유여당벽칙벽, 산부족당배칙배)

*餘(남을 여) *闢(열 벽) *培(북돋울 배)

흙이 여유가 있어 파내야 마땅하면 파야하고,

산이 부족하여 돋구어야 마땅하면 돋구어야한다.

 

先宅後墳 墳必興而宅必敗,  先分後宅 宅旣盛而墳自衰

(선택후분 분필흥이택필패, 선분후택 택기성이분자쇠)

*墳(무덤 분) *墳(무덤 분) *盛(담을 성) *衰(쇠할 쇠)

먼저 집이 있고 나중에 분묘가 생기면 분묘는 필히 흥하고 집은 필히 패하며,

먼저 무덤이 있고 나중에 집이 생기면 집은 이미 성하고 무덤은 스스로 쇠한다.

 

明堂平曠, 萬象森羅, 衆水歸朝,  諸山聚會, 草盛木繁, 水深土厚

(명당평광, 만상삼라, 중수귀조, 제산취회, 초성목번, 수심토후)

*曠(밝을 광) *羅(말리 말) *聚(모일 취) *繁(많을 번) *深(깊을 심)

명당이 평광하고 만상은 삼라이고, 여러 물은 조당으로 돌아오고,

모든 산은 모이고,풀이 무성하고 나무는 번창하고,물은 깊고 흙은 두터워야 한다.

 

牆垣籬塹 俱要回環 水圳池塘 總宜朝揖, 與夫鐵爐油榨水確牛車 立必辨方

(장원리참 구요회환 수수지당 총의조읍, 여부철노유자수확우차 입필변방

作當依法

작당의법)

*垣(담 원)*籬(울타리 리) *塹(구덩이 참)*圳(밭두덕 둘레에 있는 도랑 수)

*塘(못 당) *總(거느릴 총) *揖(읍 읍)*榨(술주자 자) *確(굳을 확)

담장을 두르고 울타리를 파는 것은 싸고 도는 것을 긴요하고,

물이 지당으로 흐름은 모두 조읍함이 마땅하다.

더불어 철화로와 기름틀과 물레방아와 우마차를 두는 곳은

필히 방위를 분별하고 당연히 법에 의거하여 지어야 한다.

#움직이며 큰 물체는 수구나 은폐된 곳에 둔다.

 

水最關於禍福  山宜合於圖經

(수최관어화복 산의합어도경)

수는 화복에 가장 관계가 있고, 산은 마땅히 도경에 부합되여야 한다.

#圖書: 河圖洛書 #河圖: 體 洛書: 用

 

所忌者水尾源頭,  所戒者神前佛後

(소기자수미원두, 소계자신전불후)

*水尾:去水 *源頭:來水 *源(근원 원) *戒(경계할 계)

꺼리는 자는 수미와 원두이고, 경계할 것은 신단의 앞과 절의 뒤이다.

 

壇廟必居水口  羅星忌當堂

(단묘필거수구 나성기당당)

*壇(단 단) *廟(사당 묘)

단묘는 반듯이 수구에 있어야 하고, 나성은 마땅이 당에서 꺼린다.

 

形局小者 不宜傷殘 寸土惜如寸玉, 垣局闊者 何妨充廣 千家任住千年

(형국소자 불의상잔 촌토석여촌옥, 원국활자 하방충광 천가임주천년)

*殘(해칠 잔) *惜(아낄 석) *垣(담 원) *闊(트일 할)

형국이 작은 데 상잔하면 마땅치 못하니 촌토라도 촌옥같이 아껴야 하고,

원국이 넓으면 충분하게 넓혀 잡아도 어찌 싫을 것인가

천가를 맏겨도 천년동안을 머문다.

 

一山一水有情 小人所止  大勢大形入局 君子攸居

(일산일수유정 소인소지 대세대형입국 군자유거)

*攸(바 유)

하나의 산과 하나의 물이 유정하면 소인이 머물 곳이고,

대세와 대형으로 입국되면 군자가 살 곳이다.

 

泰山支鬱水交流 孔林最茂,  龍虎山中風不動 仙圃長春

(태산지울수교류 공림최무, 용호산중풍부동 선포장춘)

*鬱(막힐 울)*孔林:공자의 묘 *茂(우거질 무)*圃(밭 포) *仙圃:신선의 도장

큰산에 지룡은 무성하고 물은 교류하는 중에 공림이 가장 무성하고,

용호산 가운데서도 바람이 움직이지 않으니 선포는 긴 봄이다.

 

 

20장 論蔭德及述著書之意

因往推來 準今酌古

(인왕추래 준금작고)

*因(인할 인) *推(옮을 추) *酌(따를 작)

지나간 것을 인하여 오는 것을 추측하고, 지금에 준하여 옛 것을 참작한다.

 

牧堂之論深於理 醇正無疵  景純之術幾於神 玄妙莫測

(목당지론심어리 순정무자 경순지술기어신 현묘막측)

*(蔡)牧堂: 송나라 仙師, 發微論 지음 *醇(진한 술 순) *疵(흠 자)

*(郭)景純: 진나라, 仙師, 葬經(일명 錦囊經)지음 *莫(없을 막)

목당의 말은 이치가 깊어 순정하며 하자가 없고

경순의 술은 신의 경지로 현묘하여 헤아릴수 없다.

 

法度固難陳述, 機關須自變通,  旣造玄微 自忘寢食

(법도고난진술, 기관수자변통, 기조현미 자망침식)

*陳 *述(지을 술)*旣(이미 기)*忘(잊을 망) *寢(잠잘 침)

법도는 확실히 진술하기 어렵고,

기관(틀)은 모름지기 스스로 변화하여 통하여야 하고,

이미 현미함을 만들면 스스로 침식을 잊는다.

 

函稱水何取於水 誰會孔聖之心,  盡信書不如無書 還要離婁之目

(함칭수하취어수 수회공성지심, 진신서불여무서 환요이루지목)

*函(함 함) *稱(일컬을 칭)*離婁: 시력이 좋은 사람 *婁(별 이름 루)

둘러싼 물이 어떠한 물이든 취하여 공성의 중심에 모이고,

책을 모두 다 믿는다면 책이 없는 것만도 못하니 도리어 이루의 눈을 요할 것이다.

 

賦稟雖云天定,  禍福多自己求

(부품수운천정, 화복다자기구)

*賦(구실 부) *稟(줄 품)

품성을 내리는 것은 비록 하늘이 정한다고 하지만,

화복은 대개 자기가 구하는 것이다.

 

知者樂水 仁者樂山 是之取爾, 天之生人 地之生穴 夫豈偶然

(지자요수 인자요산 시지취이 천지생인 지지생혈 부기우연)

*爾(너 이) *偶(짝 우)

지자는 물을 좋아하고 인자는 산을 좋아하니, 이것은 너희가 취한다.

하늘은 사람을 낳고 땅은 혈을 만드니 어찌 우연이라고 만 하는가.

 

欲求騰公之佳城,  須積叔敖之陰德

(욕구등공지가성, 수적숙오지음덕)

*騰(오를 등) *敖(놀 오)

등공의 가성을 구하고자 하여야 하고, 모름지기 숙오의 음덕을 쌓아야 하니라.

 

積善必獲吉遷,  積惡還招凶地

(적선필획길천, 적악환초흉지)

*獲(얻을 획) *遷(옮길 천) *還(돌아올 환)

적선은 필히 길지에 천장함을 얻고, 적악은 도리어 흉지를 잡게된다.

 

莫損人而利己,  勿喪善以欺天, 穴本天成 福有心造

(막손인이이기, 물상선이기천, 혈본천성 복유심조)

*損(덜 손) *欺(속일 기)

사람들을 손해보게 하고 자기만 이롭게 하지 마라,

착함을 없애고 하늘을 속이지 마라.

혈은 본래 하늘이 이루고 복은 마음에서 만들어진다.

 

發明古訣 以雪吾心,  地理精粗 包括殆盡, 切記寶而藏之 非人勿示 

(발명고결 이설오심, 지리정조 포괄태진, 절기보이장지 비인물시 

愼傳後之學者 永世無窮

신전후지학자 영세무궁)

*訣(비결 결) *括(묶을 괄) *殆(거의 태) *盡(다될 진) *愼(삼갈 신)

고결을 발명하니 나의 마음을 깨끗이 닦아서 지리의

정과 조를 거의 다 포괄하였다.

정성으로 기록하여 보물로 간수하며 못된 사람에게는 보여주지 말고

삼가하여 후대의 학자에게 전하여 오랜 세월동안 끝이 없도록 하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