童蒙先習(동몽선습)終

御製童蒙先習序(어제동몽선습서)

華谷.千里香 2014. 7. 27. 19:52

 

 

 

御製童蒙先習序(어제동몽선습서)

 

夫此書(부차서): 이 책은

卽東儒所撰也(즉동유소찬야): 우리나라 선비가 지은 것이다.

總冠以五倫(총관이오륜): 첫머리에서 오륜에 대한서 총괄적으로 논하고,

復以父子君臣夫婦長幼朋友(부이부자군신부부장유붕우):
                           그 다음은 이것을 다시 부자.군신.부부.장유.붕우로

列之于次(열지우차): 순서를 열거(列擧)하였다.

而其自太極肇判(이기자태극조판): 태극(太極)이 비로서 나누어짐으로부터

三皇五帝夏殷周漢唐宋以至皇朝(삼황오제하은주한당송이지황조):

                   삼황.오제.하.은.주.한.당.송을 거쳐 명나라에 이르기까지

歷代世系(역대세계): 역대의 대대의 혈통(血統)이

纖悉備錄(섬실비록):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逮夫我東(체부아동): 우리나라에 이르러서는

始檀君(시단군) : 단군에서 부터

歷三國(역삼국) : 삼국을 거처

至于我朝(지우아조) : 조선에 이르기까지

亦爲俱載(역위구재) : 역시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文雖約(문수약)       : 글은 비록 간략하나

而祿則博(이록칙박) : 그 범위는 넓고,

卷雖小(권수소)       : 책은 비록 작으나

而包則大(이포칙대) : 그 속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크다.

其況堯舜之道(기황요순지도) : 더군다나 요.순의 도는

孝弟而已(효제이이) : 효제일 뿐이랴.

舜之命契(순지명계) : 순이 계(契)에게 명하여

以五品爲重(이오품위중) : 오품을 중히 여기게 했으니,

此文之冠以五倫者(차문지관이오륜자): 이 책의 첫머리에 오륜을 말한 것은

其意宏矣(기의굉의): 그 뜻이 대한히 깊다

噫(희) : 아,

孝於親然後(효어친연후): 어버이에게 효도하고 나서

忠於君(충어군) : 임금에게 충성하고,

弟於兄然後(제어형연후): 형에게 공손하고 나서

敬于長(경우장)        : 어른을 공경하니,

以此觀之(이차관지) : 이것을 가지고 본다면

五倫之中(오륜지중) : 오륜 가운데

孝弟爲先(효제위선) : 효제가 제일이다.

 

雖然(수연) : 그러나

詩贊文王曰於緝熙敬止(시찬문왕왈어집희경지) :
       시경에서 문왕을 칭송하여 말하기를,"아! 공경의 덕을 밝히셨네,"라고 했다.

敬者(경자) : 공경이란,

成始終徹上下之工夫也(성시종철상하지공부야) :

       일의 시작과 끝맺음을 바로 하고,위와 아래를 이어주게 하는 공부인 까닭에

故(고)  : 그래서

大學要旨(대학요지) :〈대학〉의 요지는

卽敬字也(즉경자야) : 곧 경(敬)이란 한 글자로,

中庸要旨(중용요지) : 〈중용〉의 요지는

卽誠字也(즉성자야) : 곧 성(誠)이란 한 글자로 통한다.

誠敬(성경)              : 성.경은

亦於學問(역어학문) : 또한 학문에 있어서

車兩倫鳥兩翼者也(거양륜조양익자야) :

               수레의 두 바퀴,새의 두 날개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今予於此書(금여어차서) : 내 이제 이 책의 첫 편에서

以誠敬二字(이성경이자) : 성·경, 두 글자를

冠于篇首(관우편수) : 책머리에서 강조하노라

誠然後(성연후): 마음을 정성스럽게 한 후에야

能免書自我自(능면서자아자) :

                 책은 책대로, 나는 나대로 되는 것을 벗어날 수 있고,

敬然後(경연후) : 공경히 한 후에야

可以欽體欽遵(가이흠체흠준) : 가르침을 본받고 따를 수 있는 것이니,

學豈可忽乎哉(학기가홀호재): 배움에 있어 어찌 가벼이 할 수 있겠는가

予又於券下國初開創(여우어권하국초개창):
                 나는 또 이 책맨 마지막에 나오는,나라를 처음 세우고서

受號朝鮮之文(수호조선지문): 조선이라는국호를 받았다는 부분에 이르러서,

慨然追慕(개연추모) : 개연히 추모하여

三復興感也(삼복흥감야) : 감탄의 말이 입에서 절로 나옴을 금치 못했다.

噫(희)  : 아아

繼繼承承(계계승승) : 왕업을 대대로 이어받서

重熙累洽(중희누흡) : 문물이 빛나고 정치가 밝았던 것은

寔是至仁盛德沈恩隆惠(식시지인성덕심은융혜) :

                     참으로 지극하신 인덕과 융숭한 은혜가

垂裕後昆之致(수유후곤지치) : 후손에게 미친 까닭이다.

繼體之君(계체지군) : 앞으로 왕업을 이어받는 임금들도

式體之德(식체지덕) : 이 지극한 인덕을 본받아서

至于蕩蕩(지우탕탕) : 삼가고 경계하여

誠心愛民(성심애민) : 성심으로 백성을 보살펴

永保元元(영보원원) : 영원히 보전한다면,

則吾國其庶幾也(칙오국기서기야) :

         우리나라도 그 앞날을 크게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且我東禮義(차아동예의)        : 또한 우리나라의 예의가

雖因箕聖之敎(수인기성지교) : 비록 기성(箕聖)의 가르침에서 나왔다지만,

三韓以後(삼한이후) : 삼한(三韓) 이후로는

幾乎泯焉(기호민언) : 거의 없어지고 말았다.

入于我朝(입우아조) : 우리 조선에 들어와서

禮義畢擧(예의필거) : 예의가 밝아지고

文物(문물) : 문물이

咸備(함비) : 모두 갖추 어졌건만

惜乎(석호) : 안타깝게도

術者之猶遺乎此哉(술자지유유호차재) :

              이 책을 지은이가 이은이가 이것을 빠뜨리고 써넣지 않았다.

嗟爾小子(차이소자) : 아아! 어린이들이여,

益加勉旃也夫(익가면전야부) : 더욱 힘슬지어다.

時玄黓閹茂朝月上浣(시현익엄무조월상완) : 임술년 정월 상한(上澣)에

命芸館而廣印(명운관이광인): 예관에 명하여 이 책을 널리 간행하도록 하고,

作序文於卷首(작서문어권수): 책 첫 머리에 서문을 쓰노라.

'童蒙先習(동몽선습)終' 카테고리의 다른 글

童蒙先習(동몽선습)  (0) 2014.08.11
父子有親(부자유친)   (0) 2014.08.09
君臣有義(군신유의)   (0) 2014.08.07
夫婦有別(부부유별)   (0) 2014.08.05
長幼有序(장유유서)  (0) 2014.08.03
朋友有信(붕우유신)   (0) 2014.08.01
總論(총론)   (0) 2014.07.29
童蒙先習(동몽선습)-跋文(발문)  (0) 2014.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