改畵立鹿[개화입록]
서 있는 사슴으로 고쳐 그리다.
一村氓得美婦 惑之[일촌맹득미부 혹지]
한시골 백성이 아름다운 아내를 얻어,그녀에게 깊이 현혹되었다.
一日臨出 慮或有奸[일일임출 려혹유간],
하루는 외출함에 혹시 그녀를 간음하는 자가 있을까 염려하여,
畵臥鹿於女之 陰岸而標之[화와록어여지음안이표지].
누워있는 사슴을 그려서 그녀의 음호의 언덕에 표식해 놓았다.
隣少瞰氓出 欲私之[린소감맹출 사욕지],
이웃 젊은이가 백성이 나감을 보고,그녀를 사통하려 하니,
女曰 吾夫畵鹿以標 奈何[여왈 오부화록이표 내하]
여자가 말하기를,내 남편이 표식으로 사슴을 그려놓았으니 어찌하오?하니,
隣少曰 此不難 吾當改畵[린소왈 차불난 오당개화]
이웃 젊은이가 말하기를,
이는 어렵지 않으니 내가 마땅히 고쳐 그리겠다하고는
遂與交歡 誤畵立鹿而出[수여교환 오화입록이출].
마침내 더불어 기쁨을 나누고서 서 있는 사슴을 잘못 그려 놓고 갔다.
及夫還審其畵 怒曰[급부환번기화 노왈]
남편이 돌아와 그 그림을 살피고 나서,화내며 말하기를,
吾畵臥鹿而 此畵立鹿何也[오화와록이 차화입록하야]
난 누운 사슴을 그렸는데,이 그림은 서 있는 사슴이니 어찌 됐소?하니,
女曰 君不知物理[여왈 군부지물리]
여자가 말하기를,그대는 사물의 이치를 알지 못하는구료.
人亦有臥起 鹿焉能長臥[인역유와기 녹언능장와]
사람 역시 눕고 일어남이 있거늘
사슴이 어찌 능히 오래 누워 있겠소?하는지라
氓曰 吾鹿角臥而 此鹿角立何也[맹왈 오녹각와이 차녹각입하야]
백성이 말하기를,내 사슴뿔은 누웠는데,
이 사슴뿔은 서 있으니 어찌된 일이오?따지니
女曰 鹿臥則角臥 鹿立則角立 此是常理[여왈 녹와즉각와 차시상리].
여자가 말하기를,사슴이 누운즉 뿔도 눕고,
사슴이 선즉 뿔도 서는 것이 상식적 이치요.하니
氓然之 撫其背曰[맹연지 무기배왈]
백성이 이를 옳다고 여기며,아내의 등을 어루만지며 말하기를,
吾婦可謂達理者[오부 가위달리자]
나의 아내는 가히 이치에 통달한 사람이다.하더라.
-續禦眠楯[속어면순]-
'古今笑叢(고금소총)' 카테고리의 다른 글
佯裂孔窄[양렬공착] (0) | 2017.03.17 |
---|---|
剖毛行房[부모행방]음모를 가르고 방사를 행하다. (0) | 2017.03.11 |
自願打殺(자원타살) (0) | 2016.12.15 |
因病奸婢(인병간비) (0) | 2016.06.21 |
其夫在近[기부재근] (0) | 2016.03.05 |
鼠耳速治[서이속치] (0) | 2015.11.11 |
老子藥亦無用(노자약역무용) (0) | 2015.11.08 |
君是良醫(군시양의) (0) | 2015.10.19 |